한미약품 "비만치료제 임상 3상서 환자 첫 등록"

 한미약품은 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3상 시험을 위한 첫 환자를 이달 초 등록하며 임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회사는 지난해 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 환자 4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국내 임상 3상 시험 계획을 승인받은 바 있다.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한미약품이 대사질환 치료제로 개발하다가, 지난해 7월 비만 치료제로 바꿔 개발하겠다고 발표한 물질이다.

 임상 종료 시기는 2026년 상반기, 상용화 시기는 2027년 상반기 내일 것으로 회사는 내다봤다.

 이 프로젝트는 에페글레나타이드 등 비만 치료제와 함께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제제 사용 시 나타나는 근육량 손실을 방지하는 신약, 섭식 장애 개선제, 비만 예방에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 등을 개발해 비만의 전 주기적 치료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한국 제약사가 처음부터 끝까지 독자 기술로 개발하는 최초의 GLP-1 비만신약 탄생이 신속하고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