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어르신, 스마트폰 써도 절반 이상은 앱 설치 못 해"

65∼78세 노인 505명 대상 스마트폰 사용 관련 설문조사

 65세 이상 어르신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는 있지만, 절반 이상은 스스로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가정의학과 이혜진 교수 연구팀은 2022년 국내 65세 이상 79세 미만의 노인 5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는 스마트폰에서 건강관리 앱 등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활용 여부와 노쇠 정도에 따른 차이 등을 설문해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노쇠는 피로와 지병, 체중감소 등을 묻는 한국형 노쇠설문도구를 이용해 조사했는데, 505명 중에서 153명(30.3%)이 노쇠 또는 노쇠 전 단계였다. 나머지는 건강했다.

 앱을 사용하는 비중은 높았으나, 스스로 활용하는 데에는 미숙했다.

 응답자 중 440명(87.1%)은 앱을 사용하고 있으나, 319명(63.2%)은 앱을 스스로 설치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고 답했다. 절반 이상인 277명(54.9%)은 배우자나 동거인, 자녀가 앱 설치를 도와준다고 했다.

 건강 관련 앱 사용자는 응답자의 57.4%인 290명이었다.

 주된 사용 목적은 운동량 측정(90.7%·중복 응답)이었다. 이어 건강정보 습득(34.5%), 신체적 징후 수집 및 분석(18.6%), 영양 관리(7.6%) 순이었다.

 이때 건강정보 습득을 위해 건강 관련 앱을 사용한다는 응답률에서 노쇠 여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사용 목적이 건강정보 습득이라는 응답은 노쇠 전 단계 혹은 노쇠한 어르신에서 49.3%에 달했으나, 건강한 어르신에게서는 29.5%였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최초로 고령자에서 노쇠 여부에 따른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이용 현황 및 목적을 포괄적으로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JKMS'에 게재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