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면역 치료용 패치 개발"

상지대 이상석 교수팀 "자가면역 결핍 환자 대상 치료 의약품 개발 유용성 선보여"

 상지대는 디지털헬스케어학과 이상석 교수 연구팀이 'COVID-19 및 자가 면역결핍 만성 질환자 치료용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 패치'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2020년도부터 COVID-19 치료제 개발 연구를 시작한 이 교수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것은 항CD3 단클론항체(mAb)와 자성나노입자(MNPs)를 결합한 자가 면역결핍 만성 질환자 치료용 면역치료제다.

 마이크로니들은 기존 주사기의 효능과 패치의 편의성을 결합한 마이크로미터 길이 이내의 미세바늘을 포함하는 경피 약물 전달 시스템이다.

 연구팀은 "이번 mAb-MNPs 접합체 연구 결과는 장기이식 및 COVID-19와 같은 과염증으로 인한 자가면역 결핍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 의약품 개발의 유용성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