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위험 70% 낮추는 유전자 변이 발견"

美 연구팀 "피브로넥틴 변이, 치매 물질 베타 아밀로이드 배출 촉진"

  치매 원인 물질로 알려진 독성 베타 아밀로이드(Aβ)가 뇌에서 혈액-뇌 장벽(BBB)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게 해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최대 70% 이상 낮추는 유전자 변이가 발견됐다.

 미국 컬럼비아대 어빙 메디컬센터 바드리 바르다라잔 교수팀은 11일 뇌 병리 분야 국제 학술지 신경병리학 회보(Acta Neuropathologica)에서 치매 위험이 매우 높은 변이 유전자(ApoE-e4)를 가진 사람들의 게놈을 분석,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낮추는 뇌혈관계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APOE-e4 유전자가 있지만 치매 증상이 없는 사람들에 주목했다. 이들에게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는 유전자 변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APOE-e4 유전자를 가진 70세 이상 수백 명의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바르다라잔 교수는 "이처럼 회복력이 강한 사람들을 연구하면 어떤 유전적 또는 비유전적 요인이 보호 효과를 줄 수 있는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피브로넥틴은 일반적으로 혈액-뇌 장벽에 미량 존재하지만,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크게 증가한다.

 연구팀은 피브로넥틴 유전자 변이가 베타 아밀로이드가 혈액-뇌 장벽을 통해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피브로넥틴이 뇌혈관에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예방해 알츠하이머병을 막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알츠하이머병 실험동물 모델인 제브라피시와 생쥐 연구를 통해 피브로넥틴을 줄이면 혈관 내 베타 아밀로이드양이 감소하고,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다른 손상들이 개선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유럽 출신 ApoE-e4 보유자 1만1천 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유전자 변이가 알츠하이머병 발병 확률을 71% 감소시키고,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할 경우에도 발병 시기를 약 4년 정도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미국 내 ApoE-e4 보유자의 1~3%(20만~62만 명)가 이런 피프로넥틴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논문 공동 제1 저자인 카간 키질 교수는 "이 결과는 뇌혈관이 알츠하이머병에서 큰 역할을 한다는 새 증거를 뒷받침한다"며 "이 유전자 변이의 효과를 모방하는 새로운 유형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예방법 개발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지적으로 건강한 사람과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혈액-뇌 장벽 내 피브로넥틴 수치에는 ApoE-e4 유전자와 상관 없이 큰 차이가 있다"며 "피브로넥틴을 감소시키는 약물은 알츠하이머병과의 싸움에서 중요한 진전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출처 : Acta Neuropathologica, Caghan Kizil et al., 'Rare genetic variation in Fibronectin 1 (FN1) protects against APOEε4 in Alzheimer's disease',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401-024-02721-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푹푹 찌는 더위에 혈당 오를라…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요주의'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심혈관 질환자, 고혈압·당뇨병 등을 앓는 경우 폭염에 장시간 노출 시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물론이고 평소 갖고 있던 만성질환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