푹푹 찌는 더위에 혈당 오를라…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요주의'

심혈관질환·고혈압·당뇨병 등 앓는다면 탈수 막는 수분 섭취 필수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수분 배출이 많아지면 혈액을 농축시켜 혈전 위험이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뇌경색이나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하거나 재발할 우려도 커진다"며 "특히 노인은 체내 수분이 적은 편이라 더 위험하다"고 밝혔다.

 저혈압과 고혈압 환자도 주의해야 한다.

 여름에는 우리 몸이 체온을 낮추기 위해 말초혈관을 확장하고 혈압을 낮추기 때문에 저혈압이 더 심해질 수 있고, 이때 어지럼증이나 현기증을 동반하면서 자칫 낙상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 여름에는 정상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이 수축과 이완을 활발하게 반복하는데, 이때 급격   한 혈압 변동은 고혈압 환자의 혈관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만성질환자가 여름철을 건강하게 나기 위해서는 폭염에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최선이다.

 평소 운동을 하는 건 좋지만, 더운 날씨에 무리했다가는 탈수와 기력 소진으로 컨디션이 더 악화할 수 있으므로 각자 상황에 맞게 활동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숨찬 증상에 노화 탓만?…생명 위협하는 의외의 병일 수도
70대 A씨는 얼마 전 갑작스럽게 숨이 차올라 응급실에 실려 갔다. 검사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다리 골절로 침대에만 누워 지내던 중 생긴 혈전(피떡)이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의료진은 조금만 늦었더라면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했다. A씨가 진단받은 폐색전증은 심장병, 뇌졸중만큼 잘 알려진 병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 질환 못지않게 치명적이다. 특히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노인들에게서 발병률이 꾸준히 오르고 있어 경각심이 필요하다. 이 질환은 혈액 찌꺼기가 응고되면서 만들어진 혈전이 혈류를 타고 이동하다가 폐혈관을 막으면서 발생한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서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혈전은 다리의 심부정맥에서 시작돼 폐로 이동한다. 드물게 신체 다른 부위의 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보통 하나 이상의 심부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면 '심부정맥혈전증'(DVT)이라고 한다. 폐색전증의 대표 증상인 호흡곤란은 쉬는 동안에도 발생하며, 신체 활동을 하면 악화한다. 또한 심호흡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