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건강관리 앱 선택 우선순위는 '효과'보다 '보안'"

의사·만성질환자·일반인 모두 보안을 가장 중시해

 질병 치료 등 건강 관리를 돕는 디지털 헬스 애플리케이션(앱)을 선택할 때 효과보다 사이버 보안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은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신재용 교수 연구팀이 의사 97명, 만성질환 환자 589명, 일반인 407명 등 1천93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설문조사를 진행·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현재 국내에는 개인의 건강관리를 돕는 다양한 앱이 출시돼 있다. 불면증 등 질병 치료 효과를 입증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은 디지털 치료기기(Digital Therapeutics)도 의료 현장에서 사용 중이다.

 디지털 치료기기는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로 환자의 질병이나 장애를 예방, 관리 또는 치료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를 일컫는다.

 참여자들은 헬스 앱과 관련, ▲ 앱의 효과성을 입증한 논문 수 ▲ 카드 뉴스, 동영상 등 건강 콘텐츠 발송 횟수 ▲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보안 수준 ▲ 다른 이용자가 느끼는 만족도 ▲ 앱이 받은 정부 인증 여부 ▲ 월 이용료 등 6개 정보를 제공받았다.

 이들은 매번 다르게 설정된 6개 조건 구성의 앱에 관한 두 개의 선택지 중 하나를 골라야 하며, 이러한 선택을 모두 15차례 수행했다.

 그 결과 의사, 만성질환자, 일반인 세 그룹 모두 '사이버 보안과 개인정보 안전'을 앱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했다.

 다음으로는 앱의 효과성을 입증한 논문 수, 사용자 만족도, 정부 인증 순이었다. 건강 정보를 너무 자주 보내는 앱은 선호도가 떨어졌다.

 만성질환자는 일반인보다 효과성을 입증하거나 정부가 인증한 앱을 선호했다.

 의사들은 다른 그룹에 비해 효과성을 입증하거나 사용자 만족도가 높은 앱을 우선하는 경향을 보였다.

 신재용 교수는 "건강정보는 보안이 중요한 민감한 개인정보"라며 "의사, 만성질환자, 일반인 모두 보안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은 건강정보가 가진 특징을 반영한 결과"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국제학술지 'npj 디지털 메디신(npj Digital Medicine)'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