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비만·흡연 '임상위험' 높으면 심혈관질환 발병 3.6배"

질병청 연구…"'유전적 위험' 동시 높은 사람, 심혈관질환 발병 5배"
"한국인 맞춤형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예측·질환 예방 가능"

 나이·성별·혈압·흡연여부·비만도 등을 종합해 계산한 '임상위험도'가 높은 사람들은 저위험군보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3.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유전적인 위험도가 더해지면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은 5배까지 뛰었다.

 질병관리청은 이런 내용의 '한국인 맞춤형 심혈관질환 위험도 예측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제네틱스(Frontiers in Genetics)'에 발표했다.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중 지역사회 코호트(동일집단) 7천61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 자료와 유전 정보, 17년간의 추적 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질환에 관련된 유전요인을 합해 점수화한 '유전적 위험도' 수치가 높은 상위 20%의 사람들은 하위 20%에 비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약 1.5배 증가했다.

 질병청은 임상 위험도가 7.5% 미만인 임상 저위험군도 유전적 위험도가 높아지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최대 1.5배까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유전적 위험도와 임상 위험도가 모두 높은 고위험군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양쪽 수치가 모두 낮은 그룹의 5배였다.

 질병청은 "미국심장학회에서는 임상 정보를 이용해 심혈관질환 발병 예측 도구를 개발했고 이를 통해 선제적 예방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인 맞춤형'으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을 예측하고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혈압·비만·흡연 '임상위험' 높으면 심혈관질환 발병 3.6배" - 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푹푹 찌는 더위에 혈당 오를라…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요주의'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심혈관 질환자, 고혈압·당뇨병 등을 앓는 경우 폭염에 장시간 노출 시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물론이고 평소 갖고 있던 만성질환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