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업계, 신규 항체-약물 접합체(ADC) 시장에 속속 진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차세대 항암제로 주목받는 신규 항체-약물 접합체(ADC) 시장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ADC 의약품 전용 생산시설 건설부터 ADC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의 협업까지 활발히 이뤄지는 모습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셀트리온 등은 ADC 항암제 시장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는 앞서 2월에는 ADC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국내 바이오 업체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ADC 위탁 개발 계약을 체결하며 이 분야 경쟁력 강화에 나선 바 있다.

 각 사 강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협업 사례도 많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과 유엔에스바이오는 지난달 항체 신약 개발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와 ADC 항암제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ADC에 최적화한 독성 저분자 약물 개발을, 유엔에스바이오는 ADC 개발과 허가 과정을 담당한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 개발을 맡는다.

 동아쏘시오홀딩스의 원료의약품 계열사 에스티팜도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ADC에 사용되는 '링커'의 제조 공정을 공동 연구하고 이를 위탁생산하는 계약을 3월 체결했다.

 ADC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에의 투자나 이들과의 계약 체결도 적지 않다.

 삼성물산과 삼성바이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3사가 공동 출자해 운영 중인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를 통해 ADC 관련 기술을 확보한 미국 바이오 기업 '브릭바이오'에 투자한다.

 브릭바이오의 기술을 기반으로 ADC 치료제 개발 및 생산 관련 사업 기회를 모색한다는 게 삼성 측 계획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ADC 기술 확보를 위해 미국의 임상수탁기관(CRO) 'NJ바이오'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NJ바이오는 롯데바이오에 ADC 개발 프로세스, 링커 개발 기술 등을 전달한다.

 셀트리온도 ADC 특화 기업인 중국 우시XDC와 ADC 신약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를 통해 ADC 파이프라인(개발 중 신약) 확보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회사는 전했다. 현재 셀트리온이 개발 중인 ADC 신약 파이프라인은 총 6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