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진단서 치료까지…방사성 의약품 주목하는 제약업계

 암 진단과 치료에 유용한 방사성 의약품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으려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늘고 있다.

 방사성 의약품은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동위원소(RI)와 특정 암세포를 목표로 작동하는 화학물질이 결합한 약물로, 질병 진단과 치료에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SK바이오팜은 최근 한국원자력의학원과 협력해 방사성의약품 치료제 핵심 재료 제조와 공급을 포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회사는 올해 하반기에도 방사성의약품 치료제와 관련한 세부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방사성의약품 개발 기업 퓨쳐켐[220100]도 최근 전립선암 치료제 후보물질 'FC705'가 미국 임상 1상 시험 결과 1차 지표를 충족했다고 밝히며 이 분야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FC705는 전립선암에 특별히 발현되는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 방사성의약품 치료제다.

 퓨쳐켐은 이 치료제의 미국 임상 2a상과 국내 2상을 진행하고 있고 중국과 기술이전 협상도 진행 중이다.

 방사성의약품을 질병 진단에 활용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듀켐바이오는 뇌 질환, 종양 진단 분야에 활용되는 방사성의약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킨슨병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FP-CIT'와 유방암 진단용 'FES', 전립선암 진단용 'FACBC' 상업화를 마쳤다.

 듀켐바이오는 이 밖에도 치매, 진행성 핵상 마비(PSP) 등을 진단하는 데 사용하는 방사성의약품에 대한 임상도 진행 중이며 3년 내 이를 제품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에 발맞춰 일부 병원은 방사성의약품을 활용하는 전문 센터를 개소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지난해 10월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전문 센터를 열고 이곳에서 암 진단 및 치료에 방사성의약품을 사용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동시에 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테라노틱스는 '치료'(Therapy)와 '진단'(Diagnostics)의 합성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