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수명' 평균 66.2세…서울 69.7세로 가장 높고, 경남 64.3세로 가장 낮아

나백주 을지의대 교수, 토론회서 지적…"중앙·지방정부 공동운영 필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불균형이 심화하는 가운데 지역의료 붕괴를 막기 위해 공공병원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과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 등 51개 단체로 구성된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는 지난 20일 오전 국회에서 '의료대란으로 드러난 한국 의료 공급체계의 문제점과 공공의료 강화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운동본부 정책기획위원장을 맡은 나백주 을지의대 교수는 토론회 발제문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불균형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가려면 1시간 넘게 걸리는 인구 비율은 서울은 0.0%지만 제주는 52.3%였다. 전국 평균은 23.6%였다.

 이런 의료 불균형은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졌다.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인 '건강수명'은 서울이 69.7세로 가장 길고, 경남이 64.3세로 가장 짧았다. 전국 평균은 66.2세였다.

 나 교수는 응급의료시설 접근성이 열악하면 인구감소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공공병원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순히 공공병원 하나를 설립하자는 것이 아니라 공적 운영을 통해 실질적인 공공병원 기능을 하게 하자는 것"이라며 "별도 예산지원체계를 만들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앙정부가 인건비를 책임지고 광역지자체는 필수 운영비와 적자분을 책임지는 구조가 필요하다"며 공공보건의료 특별회계 설치도 제언했다.

 나 교수는 의대 입학정원 증원과 관련해서는 지방 의대라도 수련병원을 수도권에 둔 경우가 많은 만큼, 지역특화 수련 과정을 현실화하려면 공공의대 설립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로나19 축적 기술력 이용 mRNA 백신 개발"…플랫폼 개발 속도 내는 제약사들
국내 백신 개발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이용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질병관리청이 최근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해 100∼200일 이내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mRNA 백신 플랫폼 국산화를 중점 과제 중 하나로 언급하면서 더 탄력받는 분위기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정보를 담은 mRNA를 우리 몸에 주입해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고 이에 따라 항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우선 차백신연구소[261780]는 지난달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mRNA 백신 및 치료제 후보 물질에 대한 비임상 및 임상 연구를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GC녹십자는 전남 화순의 백신 공장에 mRNA 제품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 이 시설은 임상시험용 제제를 생산할 수 있는 시범(파일럿) 규모로 지어졌다. 현재로서는 임상 1∼2상을 진행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