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노동자 40% "의사 매우 부족"…의정갈등 전보다 15%P↑

보건의료노조 실태조사…응답자 과반 "의정갈등으로 업무 늘어"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병원사무직 등 보건의료 노동자 대다수는 의사 수가 부족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가 16일 공개한 보건의료 노동자 정기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월 조합원 4만4천90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83.9%가 의사 수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특히 의사 수가 '매우 부족'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40.3%로, 작년 2월 의대 증원으로 인한 의정 갈등 사태 직전인 2023년 조사 당시보다 14.9%포인트 늘었다.

전공의 집단사직 등으로 인해 현장에서 체감하는 의사 부족이 더 심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의사 부족으로 인해 병원 운영 등에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91.3%가 '의사 업무가 간호사 등 진료지원 인력에게 더 많이 전가된다'는 점을 꼽았고, 이는 가장 시급하게 개선돼야 하는 문제로도 지적됐다.

응답자의 절반(49.2%)은 의사 부족 탓에 의사를 대신해 면담·상담을 하면서 항의나 불만을 들어야 한다고 했고, 의사를 대신해 시술·드레싱을 한다거나 처방한다는 응답률도 각각 39.2%, 35.5%였다.

의사 부족으로 '의료사고의 위협을 자주 느낀다'는 응답률도 29.5%였다.

'의정갈등 이후 내가 수행할 업무량이 늘었다'는 데에는 응답자의 53.8%가 동의했다. 특히 간호직 중엔 3명 중 2명(64.7%)이 이같이 답했다.

간호사 응답자 중 진료지원(PA) 인력은 14.4%였는데, 전체의 5.5%는 전공의 사직 사태 이후 진료지원 업무를 맡게 됐다고 했다.

진료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전체 보건의료 인력 중 43.9%는 관련 교육을 받지 못했다고 했고, 교육받은 이들 중에서도 40.4%는 8시간 이하만 받았다. 또 76.9%는 소속 병원 내 자체 교육만 받은 채 업무에 투입됐다.

보건의료노조는 "의료공백의 원인인 의정갈등의 조속한 해결과 업무범위 명확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며 직종별 수급추계위원회의 조속한 구성과 보건의료 인력 업무조정위원회 신설 등을 촉구했다.

 

장익상 선임기자(iksang.jang@gmail.com)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