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8일 조간)

▲ 경향신문 = 전공의 무더기 사직 현실화, 의료 공백·혼란 최소화해야

여당도 '김건희 통제', 대통령실 '사과·수사·부속실' 답해야

교사·학생 인권 '제로섬' 벗어나 교육공동체 복원해야

살인과 다름없는 임신 36주차 낙태… 생명 경시 통탄할 일

▲ 서울신문 = 정론의 힘으로 미래를 열겠습니다

성큼 다가선 '트럼프 2기'… 안보·경제 변수 대비를

▲ 세계일보 = 이진숙 청문회 이틀 열고 검찰총장 증인 채택한 巨野 횡포

끝내 복귀 외면한 전공의 없어도 돌아가는 병원 만들어야

서이초 교사 사망 1주기… 현장에선 체감 어려운 교권보호

▲ 아시아투데이 = 트럼프발 경제 쓰나미, 철저 대비가 답이다

이진숙 이틀간 청문회, 방송 장악·극우 낙인찍기인가

▲ 조선일보 = 명품백 해명도 혼선, 제2 부속실은 6개월째 검토중

'21세기 정치깡패'에 판 깔아준 정치권의 책임

15년 만의 24조 원전 수출, 암흑기 떨치고 부활한 K원전

▲ 중앙일보 = 국가의 분열 부추기는 극단 유튜브 규제 시급하다

국제 망신 자초한 국정원의 아마추어 공작

▲ 한겨레 = 인권위원이 '인권침해 우려' 유엔 서한 받는 정부

"김여사 사과" 국힘 후보 모두 촉구, 변명 말고 진실밝혀야

트럼프 재집권이 가져올 경제충격 대비하고 있나

▲ 한국일보 = 채 상병 사망 1년, 철저한 진상규명 피할 수 없다

인적 쇄신 없는 찔끔 개각으로 국정 동력 생기겠나

"대만, 방위비 내라" 트럼프, 한국에 청구서 내밀 수도

▲ 글로벌이코노믹 = 트럼프 대선 승리에 대비할 때다

가상자산법 시행, 불공정거래 근절 계기로

▲ 대한경제 = 공사비 갈등·고금리에 정비사업 좌초, '재초환' 폐지해야

수의계약에 대한 색안경 벗을 때 됐다

▲ 디지털타임스 = 집값 잡겠다고 대출금리 줄인상… 결국 은행만 좋은 일

공무원 32% "주어진 일 이상 안해"… 이러니 나라 돌아가겠나

▲ 매일경제 = 보호출산제 시행… 모든 아이 사회가 품는 계기로

검찰총장·연예인까지 부르는 민주당, 청문회로 날샐텐가

관세·방위비 인상 압박하는 트럼프… 美우선주의 대비를

▲ 브릿지경제 =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이용자 보호' 더 강화해야

▲ 서울경제 = 개원식도 열지 못하고 탄핵·입법 폭주와 무한 정쟁에 빠진 국회

트럼프發 글로벌 경제·안보 리스크…선제적 대비책 서둘러라

巨野 "직접 지원 확대"…현금 뿌리기 선심 추경 안 된다

▲ 이데일리 = 20대 캥거루족 OECD 1위… 일자리가 최고 해법이다

빚에 짓눌리는 자영업자들, 내수불황 타개책 나와야

▲ 이투데이 = 사회 암덩어리 전세사기, 근본 처방 강구해야

▲ 전자신문 = 삼성 모바일 사업, 가치 차별화해야

▲ 파이낸셜뉴스 = 연금개혁·세제개편, 정부안부터 제시해야

韓 경제성장률 상향, 규제 개혁 호기로

▲ 한국경제 = 필리핀 가사도우미 100명, '외국인 돌봄' 성공모델로

24조 수주 쾌거, 새 성장엔진 'K원전'의 반가운 부상

'공급 확대' 깜빡이 확실하게 켜야 집값 잡는다

▲ 경북신문 = 난장판 국회 VS 난장판 당권 쟁탈

▲ 경북일보 = 대학이 지역 경쟁력…글로컬대 지정 최선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