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밥쌀' 수요 10년 만에 증가…한국 등 방일 관광객 증가 원인?

  일본의 밥쌀용 쌀 수요량이 10년 만에 증가세를 보였다고 교도통신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30일 보도했다.

 일본 농림수산성이 이날 발표한 2023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1년간 쌀(가공용을 제외한 주식용 기준) 수요는 702만t으로 전년 같은 시기보다 11만t(1.6%) 늘었다.

 일본 내 밥쌀 수요가 증가세를 보인 것은 2013년 7월∼2014년 6월 이후 처음이다.

 방일 관광객에 의해 늘어난 쌀 소비량은 약 3만t 수준으로 추정했다.

 올해 상반기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은 총 1천778만명으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다를 경신했다. 기존 최다 기록은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인 2019년의 1천663만 명이었다.

 소비 증가에 따라 쌀 재고량은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6월 말 현재 민간 재고량은 156만t으로 1년 전보다 21%가량 줄었다.

 이에 따라 현재 소비되는 2023년산 쌀의 60㎏짜리 도매가격은 평균 1만5천307엔(약 13만7천원)으로 2019년산 쌀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특히 2023년산 쌀의 경우 이상 고온으로 고시히카리 등 인기 품종의 1등급 비율이 떨어지면서 품질 좋은 인기 품종 쌀은 공급이 원만하지 않아 일부 매장에서 최근 판매 수량에 제한을 두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일본 정부는 쌀 수급 자체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6월 말 현재 재고량은 연간 수요량 대비 약 22%로 2011년이나 2012년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며 "수급이 절박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인식한다"고 말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밥쌀 수요의 증가세 전환이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농림수산성은 2024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1년간의 수요량은 673만t으로 전년 동기보다 29만t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협 "임신중 타이레놀 자폐증 유발 근거無…불안 야기 말아야"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확립된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의협은 25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하며 "국제적으로도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필요시 단기간, 최소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불확실한 주장에 불안해하지 마시고 주치의와 상의해 약을 복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일부 전문가들이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행동에 대해서 강력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면서 고열·통증을 타이레놀 없이 참고 견디되, "참을 수 없고 견딜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복용해야 하겠지만, 조금만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아스피린과 달리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가 해열·진통을 위해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약물로 여겨져 왔다는 점에서 보건·의료계는 물론 정치권에서도 "근거가 뭐냐"는 반발이 일고 있다. 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