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6일 조간)

▲ 경향신문 = 미국·중동발 공포에 증시 급락, 한국은 '복합위기 대책' 있나

대통령 명예훼손 수사 구실로 수천명 통신조회한 검찰

사회적 재난이 된 폭염, 취약층 총력 지원 서둘러야

코스피 하루 최대 하락, 정교한 거시·통화 정책 마련해야

▲ 서울신문 = '국가적 영웅' 해외 독립운동가·참전용사 지원을

증오와 가짜뉴스 뒤엉킨 英 폭력사태, 남 일 아니다

혼돈의 글로벌 경제 헤쳐갈 지혜 절실하다

▲ 세계일보 = 대선 여론조작 수사 통신 조회, 7개월 늑장 통보할 사안인가

명문대생 포함된 '마약동아리' 충격, 비상 대책 강구해야

'파업 조장' 우려 높은 노란봉투법이 "민생법"이라는 野 궤변

▲ 아시아투데이 = 검찰, '옥새 가짜뉴스' 의혹 신속·엄정하게 수사해야

고객 손실 끼친 우리은행, 이번엔 직원들 인권침해

▲ 조선일보 = 못 오르던 한국 증시, 내릴 땐 사상 최대 폭락

전기차 늘리는 데만 신경, 안전 대책은 뒷전

가짜 뉴스에 폭력 시위, 영국보다 한국이 더 위험할 수 있다

▲ 중앙일보 = '이재명 사당화'의 완성 향해 가는 민주당

공포 닥친 블랙 먼데이 … 증시 충격, 실물 전이 막아야

▲ 한겨레 = 또 좌초 위기 노란봉투법, 언제까지 거부만 할 건가

미 경기침체와 5차 중동전쟁, 복합 위기 직면한 한국 경제

한동훈 장담했던 '엘리엇 소송' 패소, 이자 대신 낼 건가

▲ 한국일보 = 충격적인 대학 연합동아리의 마약 유통

수사기관 마구잡이 통신조회, 사법적 통제 해야

패닉 증시 사상 최대 폭락… 다중 위기 대응 시급하다

▲ 글로벌이코노믹 = 자유와 반이민 구도로 치러질 美 대선

양궁의 경쟁력, 경제에 활용하려면

▲ 대한경제 = 산업계 절규 외면한 노란봉투법, 거부권이 당연하다

반짝 관심으론 건설현장 온열질환 사고 막지 못해

▲ 디지털타임스 = "노란봉투법은 친기업법"이라는 박찬대, 이 정도면 요설이다

경제 먹구름 몰려오는데 위기 극복할 리더십 안보인다

▲ 매일경제 = 명문대 동아리서 마약, 일상 위협하는 범죄에 엄한 처벌을

길어지는 살인폭염, 산업안전 기준 재정비해야

파업조장법 강행하며 '친기업법'이라는 민주당의 궤변

▲ 브릿지경제 = 美 대선 구도 출렁… 재생에너지 등 영향 챙겨봐야

▲ 서울경제 = 재정 악화·과잉 생산 초래하는 양곡법 또 밀어붙이는 이유 뭔가

유통업 '금융 일탈' 리스크, 늦었지만 정교하게 정비해 관리하라

美 침체 우려에 최악의 블랙 먼데이…'경제 방파제' 든든히 쌓아야

▲ 이데일리 = 티메프 사태 키운 상품권… 재발 막을 대책 시급하다

세계 경제 덮친 R 공포·중동 불안… 우리 대응 이상 없나

▲ 이투데이 = '검은 금요일' 이어 '검은 월요일'…안전띠 맬 시간

▲ 전자신문 = 경제 위기, 선제적 대책 서둘러야

▲ 파이낸셜뉴스 = 5천개 하청업체와 임금협상하라는 노란봉투법

미국·중동발 리스크, 비상대비책 만전 기해야

▲ 한국경제 = 언제 불날지 모를 전기차, 화재 대책 재설계해야

민생법안 처리 0건 … 국회 개원 두 달간 1200억원 세금 도둑

영국 '가짜 뉴스' 폭력사태 … 거짓과 극단이 만났을 때의 휘발성

▲ 경북신문 = 잦은 전기차 폭발 왜?… 경북도가 잡는다

▲ 경북일보 = 사상 최악·최장 폭염…피해 최소화 힘써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의료대란이 환자 등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장관은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해 "환자·시민단체들은 반드시 지난 의료대란에 대한 피해 조사와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장관님 견해는 어떤가"라고 묻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조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정 장관은 "환자단체에서의 조사 요구와 의원님이 말씀하신 (보건의료기본법 일부개정안의) 조사는 조금 달라서 피해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고, 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피해 조사와는 다른 측면이 있어 그런 부분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정부가 의료대란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알릴 필요가 있고, 혹시라도 반복될 시 정부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시냐"고 묻는 질문에는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을 넘기며 장기화하자 환자·시민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