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 미생물, 암환자에 이식하면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높여"

서울아산병원 연구…"대변 미생물 이식했더니 면역항암제 내성 사라지고 효과↑"

 대변 내 미생물을 이식해 면역항암제에 내성이 생긴 암환자들의 치료 효과를 다시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은 이 병원 종양내과 박숙련 교수와 광주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박한수 교수 연구팀이 이러한 효과를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를 높이는 균주도 새롭게 발견했다.

 이후 면역항암제 치료에 최소 6개월 이상 암 완전 관해(암의 징후나 증상이 사라짐), 부분 관해 등 좋은 효과를 보인 환자의 대변에서 미생물만을 분리해냈다.

 이 미생물을 면역항암제에 내성이 생긴 암 환자의 대장에 내시경으로 이식한 후 환자들에게 6∼8주마다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를 실시해 암 상태를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대변 미생물을 이식받은 환자 13명 중 전이성 간암 환자 1명의 암 크기가 48%로 감소하는 등 부분 관해된 것이 관찰됐다.

 이 환자의 간암 종양 표지자 검사(악성종양 선별을 위해 암세포 반응 물질을 측정하는 검사) 수치는 이식 후 이식 전의 0.3% 수준으로 줄었다.

 또한 5명의 전이성 암 환자는 미생물 이식 후 더 이상 암이 진행되지 않는 모습을 보여, 면역항암제 내성이 사라진 것으로 해석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대변 이식 후 장내 미생물 구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며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를 높이는 새로운 균주도 발견해 '프레보텔라 메르대 이뮤노액티스'라고 이름붙였다.

 병원에 따르면 이 같이 간암·위암 등 전이성 고형암 면역항암제 치료에서 대변 이식의 효과를 밝힌 연구는 이번이 최초다.

 이전까지는 악성흑색종 환자에서만 대변 이식의 효과가 규명됐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셀'의 자매지인 '셀 호스트 앤 마이크로브(Cell Host & Microbe, IF=20.6)'에 최근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생애 마지막 돌봄' 강화…서울시, 호스피스 병상 대폭 늘린다
지난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가운데 서울시가 말기 환자 돌봄 수요에 대응하고 존엄한 생의 마지막을 돕기 위해 호스피스 병동 확충에 나선다. 서울시는 서울시립 북부병원(중랑구 망우동) 호스피스 병상을 기존 25병상에서 54병상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시는 기존의 일반 병동 1개를 전면 리모델링해 호스피스 전담 병동 29병상을 추가로 확보했다. 서울시 북부병원은 1·4인실, 임종실 등으로 구성된 25개 호스피스 병상을 운영해왔으나 이번 리모델링을 통해 2·3인실 등 다양한 병실 형태를 확보하게 됐다. 이로써 시가 운영 중인 시립병원에는 총 145개 호스피스 병상이 확보됐다. 시는 이번 북부병원을 시작으로 서북병원 등 시립병원 전반에 걸쳐 79개 병상을 추가로 확보해 2027년까지 총 224개 호스피스 병상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단순히 공공병원 호스피스 병상 확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문인력 구성, 심리·정서 지원, 가족 돌봄교육 등을 포함하는 통합형 완화의료 시스템을 제공하고 전 생애를 아우르는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동률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