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흡연자 폐암 증가, 대기오염이 주요 원인일 수 있어"

美 연구팀 "폐종양 게놈 분석…대기오염-암 유발 돌연변이 연관성 확인"

 세계적인 흡연 감소 추세 속에 비흡연자 폐암 비율이 증가하는 것은 대기오염 등이 비흡연자에게 폐암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와 미 국립암연구소(NCI) 공동 연구팀은 4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세계 28개 지역, 비흡연자 870여명의 폐종양 게놈을 분석, 대기오염 등 환경 노출과 폐암 발병에 기여하는 유전적 돌연변이 발생 간 연관성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논문 공동 교신저자인 UC 샌디에이고 루드밀 알렉산드로프 교수는 "비흡연자 폐암이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며 "이 연구는 대기오염이 일반적으로 흡연과 관련돼 발생하는 유형의 DNA 돌연변이와 강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미 등 대기오염 수준이 다른 28개 지역에 사는 871명의 비흡연자 폐종양을 분석, 돌연변이 패턴을 확인했다.

 이어 이를 위성·지상 측정 초미세먼지(PM2.5) 수치 등 거주지역 대기오염도와 연결, 대기오염과 폐암 관련 돌연변이 간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대기오염도가 높은 환경에 사는 비흡연자일수록 폐종양에 돌연변이 수가 현저히 많았고, 특히 암 발생을 직접 촉진하는 암 유발 돌연변이(driver mutation)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의 비흡연자 종양에서는 특정 발암 요인이 DNA에 남긴 고유 돌연변이 패턴인 돌연변이 서명(mutational signatures)이 현저히 많았다.

 이들의 폐종양에는 흡연 관련 돌연변이 서명이 3.9배, 노화 관련 돌연변이 서명이 76%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는 대기오염이 마치 흡연처럼 작용해 DNA에 흡연과 유사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논문 제1 저자인 마르코스 디아스-가이 박사는 "이는 대기오염만의 고유한 돌연변이 시그니처가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대기오염이 체세포 돌연변이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여기에는 흡연 및 노화 관련 기존 시그니처에 해당하는 돌연변이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간접흡연과 폐종양 돌연변이 사이에서는 강한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간접흡연에 노출된 비흡연자 폐종양에서는 돌연변이가 약간 증가하고 텔로미어가 짧아졌으나 돌연변이 유발 효과는 대기오염보다 훨씬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대만 지역 비흡연자 폐암에서는 중국 전통 의학에서 이뇨제, 진통제, 항염제 등으로 쓰이는 마두령과 식물에 함유된 아리스톨로키아산(aristolochic acid)과 관련 특정 돌연변이 시그니처가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물질은 방광, 위장, 신장, 간암 등과의 연관성이 제기돼 왔다며 이 연구는 이 물질이 폐암 발생에도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알렉산드로프 교수는 "이 연구에서 대부분 비흡연자 폐암에는 나타나지만 흡연자에게는 없는 새로운 돌연변이 시그니처도 발견했다"며 이는 대기오염이나 다른 알려진 환경 노출과 연관이 없었고 원인도 아직 불분명해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Díaz-Gay, M and Zhang T et al., 'The mutagenic forces shaping the genomic landscape of lung cancer in never smokers', https://doi.org/10.1038/s41586-025-09219-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