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4일 조간)

▲ 경향신문 = '인사 탕평·지역 균형' 소통한 이 대통령, 이런 회견 많아져야

급한 불 끈 서울 집값, "대출 규제 맛보기"라는 이 대통령

루비오 장관 방한 전격 취소, 한·미 관계 우려 불식해야

또 화재로 희생… '혼자 남겨진 아이' 없어야 한다

▲ 동아일보 = 李 "한쪽만 쓰면 위험"…공직사회 복지부동 깰 인사 典範으로

日에 "버릇없다", 美 국무 방한 취소…동맹도 예외 없는 美 압박

李 "추석 전 檢 개혁 얼개"… '76년 만의 대수술' 국민 편익이 기준

▲ 서울신문 = 李 첫 회견 "통합의 국정"… 더 자주 소통해 이 약속 지키길

상법 개정안 통과… 재계 우려 큰 배임죄 등 보완 이어져야

9년 만의 특감, 권력 주변이 국정 발목 다시는 잡지 않도록

▲ 세계일보 = 李, 취임 한 달 만에 기자회견… 소통 기회 자주 갖기를

상법 개정안 국회 통과, 부작용 막는 보완 입법 서둘러야

한·미 관계 잇단 이상 기류, 절박감 갖고 대처하라

▲ 아시아투데이 = '격의없는 소통' 李대통령 첫 회견, 경제도약 동력되길

대통령실 특활비 되살려 늘린다는 여당의 진심은

▲ 조선일보 = 李 "같은 쪽만 쓰면 전쟁" 특별감찰관 인선부터 실천을

의혹 속 인준 金 총리 "野 더 만날 것" 약속 지키길

특활비 "쓸데없다"더니, 민주당은 부끄러움을 아나

▲ 중앙일보 = 소통·협치 강조한 이 대통령 첫 기자회견, 문제는 실천

특활비 없애더니 집권하자 증액 요구…여당의 이율배반

▲ 한겨레 = 이 대통령 첫 기자회견, 실용·소통 자세로 성과 내야

김민석 총리 인준, 국민만 바라보며 국정·협치 이끌길

한-미 관세협상, 최악의 상황도 대비해야

▲ 한국일보 = 이 대통령의 소통과 통합 기조, 정권 내내 유지하길

치솟는 물가, 13조 소비쿠폰이 자극 않도록 선제 대응을

막 오른 김건희·채상병 특검… 尹 정권 '농단·남용' 규명해야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주담대 억제는 맛보기" … 집값 안정에 정권 명운 걸어야

건설현장BP설치, 건설사 상대 운송거부로 풀릴 문제 아니다

▲ 디지털타임스 = 수요 조여 집값 잡겠다는 李대통령, 공급책 없인 성과 어렵다

野 불참속 인준 통과한 金 총리… 실력으로 국민 신뢰 얻으라

▲ 매일경제 = 李 "정파 대통령 아니라 국민 대통령" … 초심 유지하면 성공할 것

3%룰 상법 국회 통과…기업 활동 위축 막을 보완책 시급하다

폴란드 현지 생산거점 구축으로 진화한 K방산

▲ 브릿지경제 = 남은 4년 11개월, 민생·경제 위한 시간으로 채우길

▲ 서울경제 = 李 "성장·도약이 최우선 과제" … 실용적 시장주의로 실천해야

美 관세 압박·中 전승절 초대, 외교 현안 신중하고 정교한 접근을

'더 센' 상법 통과…기업 우려와 부작용 줄일 방안 마련하라

▲ 이데일리 = 성장 기대감 높인 이재명 한 달, 구조개혁도 서둘러야

성인 31% 과잉학력, AI시대 맞는 교육개혁 급하다

▲ 이투데이 = 가상자산시장, '국익' 틀에서 접근을

▲ 전자신문 = 기업·신산업 통한 성장 기대한다

▲ 파이낸셜뉴스 = 상법개정안 통과, 부작용 생기면 즉시 보완 나서길

李대통령, '실용' 초심 잃지 말고 경제 도약 이뤄내야

▲ 한국경제 = '노란봉투법' 앞세운 정치파업, 국민 공감 얻기 어렵다

서비스산업 혁신 없이 좋은 일자리 만들지 못한다

"더 낮은 자세로 국민 인정 받겠다" 취임 한 달 李대통령의 약속

▲ 경북신문 = 국가 안보 걸린 수사…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 경북일보 = 소비쿠폰 풀기 전에 뛰는 물가부터 잡아라

수소환원제철 전환, 국가 지원 확대해야

▲ 대경일보 = 정치보복에 대해 정권의 품격을 생각한다

살인 물가… 건전소비·유통에 힘모아야 할 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