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분해 500년' 폴리에틸렌 생분해 친환경 효소 개발

KIST, 폴리에틸렌 분해 효소 'PFL1' 발굴

 포장재나 비닐봉지 등으로 쓰이며 잘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인 폴리에틸렌을 분해하는 효소가 처음 발굴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안정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합성생물학으로 미생물에서 유래한 효소를 개발해 폴리에틸렌을 생분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폴리에틸렌은 매년 생산되는 플라스틱 중 35%를 차지하는 플라스틱으로 자연에 두면 산화하며 분해까지 500년 이상 걸린다. 처리를 위해 소각하면 유독 물질이 만들어지고, 화학적으로 분해하면 비싼 촉매를 써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합성고분자인 폴리에틸렌과 화학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가진 지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유력 후보로 보고, 혐기성 세균으로 대장균 일종인 펠로시누스 퍼멘탄스가 가진 지질 분해효소에서 '펠로시누스 퍼멘탄스 리파제 1'(PFL1)을 발굴했다.

 이 효소를 산화 폴리에틸렌에 처리한 결과 중량평균 분자량이 44.6%, 수평균분자량이 11.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분자량 수치는 줄어들수록 플라스틱 생분해가 많이 이뤄졌음을 뜻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전자현미경으로 분해된 폴리에틸렌을 보니 표면에 생분해 흔적인 찢어짐과 갈라짐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PFL1 효소가 폴리에틸렌 표면에 강하게 결합한 후 작은 조각으로 분해하는 생분해 원리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효소는 재생할 수 있는 원료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생분해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알코올이나 카복실산 등을 플라스틱 재합성이나 화학 소재를 만드는 데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 선임연구원은 "기존에 처리가 곤란했던 난분해성 플라스틱 폐기물의 생분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며 "기술의 상업화를 통해 포화상태에 이른 쓰레기 매립지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 5월 국제학술지 '생물자원 기술'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동네의원'에서 고혈압·당뇨 관리시 본인부담률 30%→20% 경감
동네 의원에서 고혈압·당뇨병 통합관리 서비스를 신청해 관리받는 만성질환자의 외래진료비 본인 부담이 기존 30%에서 20%로 줄어든다. 보건복지부는 13일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국민건강보험범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개정된 시행령은 고혈압·당뇨병 통합관리 서비스를 신청하고 맞춤형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만성질환자는 의원에서 진료 시 본인부담률을 기존 30%에서 20%로 경감하는 법적 근거를 담았다. 복지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에서 포괄적·지속적 관리를 받도록 유도하는 한편 의료전달체계 개선 등 합리적인 의료 이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복지부는 내년도 건강보험료 연말정산부터 기업 등 사용자가 세무당국에 소속 근로자의 급여 지급 내역을 제출할 경우 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보수총액 신고를 면제하기로 했다. 그동안 사용자는 건보료 연말정산을 위해 매년 3월 10일까지 건보공단에 소속 근로자의 전년도 보수총액을 신고해야 했다. 이때 사용자는 같은 시기에 근로소득세 연말정산을 위해 세무당국에 전년도 급여 등을 신고해야 하므로, 사실상 세무당국과 건보공단에 동일한 내용의 신고를 이중으로 하는 불편을 겪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콘택트렌즈 끼고 물놀이하면 안돼…"염증으로 각막 손상"
여름철 물놀이를 할 때 안경 대신 콘택트렌즈 착용하시는 분 많으시죠. 그런데 렌즈를 낀 채로 물에 들어가면 자칫 눈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휴가철 콘택트렌즈를 안전하게 착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착용할 때 눈에 직접 닿게 되는 콘택트렌즈는 평소에도 깨끗하게 관리해야 하는데요. 특히 수영장 물이나 바닷물이 닿으면 세균이 쉽게 번식할 수 있습니다. 계곡이나 강물에 들어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눈에 염증을 일으키기 쉬운데요. 또 수영장 물에 들어있는 염소를 비롯한 여러 화학물질이 콘택트렌즈에 묻으면 각막이 손상될 수 있죠. 임동희 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미생물들이 렌즈에 쉽게 달라붙어서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 각막염이나 세균성 각막염, 아메바 각막염 같은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콘택트렌즈 대신 도수가 있는 물안경을 쓰는 게 더 안전하다"고 말했습니다. 가시아메바 각막염에 걸리면 시력 저하는 물론 심할 경우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한경은 이대목동병원 안과 교수는 "자연환경 어디에나 존재하는 가시아메바는 콘택트렌즈 착용 시 눈 표면에 생긴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면서 "아주 심한 경우에는 안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