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암 수술대기, 대체로 주는데…'발생률 3위' 폐암은 6일 늘어

수술 대기기간 수도권에선 줄었지만, 비수도권에선 되레 늘어나

 주요 암 수술 대기 기간이 최근 들어 소폭 줄어드는 추세지만, 발생률 3위인 폐암의 경우 일주일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암 수술 대기기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종합병원 이상 병원에서의 췌장암 수술 대기 기간은 전공의가 집단 사직한 직후인 올해 3월 15.8일에서 6월 13.1일로 줄었다.

 상급종합병원에서는 17.9일에서 15.2일로, 종합병원에서는 9.6일에서 7.03일로 각각 췌장암 수술 대기 기간이 감소했다.

 위암 수술 대기 기간은 상급종합병원에서는 5월 19.7일에서 6월 19.4일로, 종합병원에서는 5월 17.3일에서 16.4일로 줄었다.

 5∼6월 대장암 수술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에서는 대기 기간(11.3일→12.1일)이 늘었지만, 종합병원에서는 10.7일에서 10.5일로 짧아졌다.

 이 기간 두경부암도 대장암과 마찬가지로 상급종협병원에서의 수술 대기 기간(10.4일→12.8일)이 길어졌지만, 종합병원에서는 10.7일에서 10.22일로 단축됐다.

 문제는 폐암 수술이었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남녀 통틀어 세 번째로 발생률이 높은 폐암은 종합병원 이상 병원에서의 수술 대기 기간이 올해 3월 18.4일에서 24.2일로 6일가량 길어졌다.

 이 기간 폐암 수술 대기 기간은 상급종합병원에서는 19.7일에서 25.8일로, 종합병원에서는 14.1일에서 19.8일로 늘었다.

 김미애 의원은 "상급종합병원의 폐암 수술 대기 기간은 작년 이후 가장 길어졌다"며 "종합병원에서도 수술 대기 기간이 늘어나 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상급종합병원만 따졌을 때 주요 암 수술 대기 기간은 수도권에서 감소한 반면, 비수도권에서는 늘었다.

 발생률 2위인 대장암의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수술 대기 기간은 올해 3월 12.2일에서 6월 11.99일로 짧아졌지만, 비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서는 10.3일에서 12.3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위암 수술도 수도권에서는 20.7일에서 19.4일로 줄었지만, 비수도권에서는 16.7일에서 19.5일로 늘었다.

 이런 경향은 유방암, 췌장암, 두경부암 등에서도 마찬가지였는데, 가장 문제가 큰 폐암의 경우 수도권(21.5일→27.4일)과 비수도권(15.5일→21.7일)을 가리지 않고 상급종합병원 수술 대기 기간이 늘어났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생애 마지막 돌봄' 강화…서울시, 호스피스 병상 대폭 늘린다
지난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가운데 서울시가 말기 환자 돌봄 수요에 대응하고 존엄한 생의 마지막을 돕기 위해 호스피스 병동 확충에 나선다. 서울시는 서울시립 북부병원(중랑구 망우동) 호스피스 병상을 기존 25병상에서 54병상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시는 기존의 일반 병동 1개를 전면 리모델링해 호스피스 전담 병동 29병상을 추가로 확보했다. 서울시 북부병원은 1·4인실, 임종실 등으로 구성된 25개 호스피스 병상을 운영해왔으나 이번 리모델링을 통해 2·3인실 등 다양한 병실 형태를 확보하게 됐다. 이로써 시가 운영 중인 시립병원에는 총 145개 호스피스 병상이 확보됐다. 시는 이번 북부병원을 시작으로 서북병원 등 시립병원 전반에 걸쳐 79개 병상을 추가로 확보해 2027년까지 총 224개 호스피스 병상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단순히 공공병원 호스피스 병상 확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문인력 구성, 심리·정서 지원, 가족 돌봄교육 등을 포함하는 통합형 완화의료 시스템을 제공하고 전 생애를 아우르는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동률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