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아산병원,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 평가' 9회 연속 1등급

폐기능검사 시행률 등에 높은 점수…호흡기 질환 관리·치료 수행

  강릉아산병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제9차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적정성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

 강릉아산병원은 9회 연속 1등급 평가를 받았다.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 평가는 환자의 질병 악화와 입원을 줄이고 합병증을 조기 발견해 치료하는 등 환자 관리의 질 향상을 위해 2013년부터 시행해오고 있다.

 이번 평가는 지난해 만 40세 이상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치료한 전국 6천339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폐기능검사 시행률, 지속 방문 환자 비율,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 비율 등을 평가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흡연이나 실내외 먼지ㆍ가스 등에 의해 기도와 폐포가 손상돼 호흡기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유창식 강릉아산병원장은 "강원도의 경우 노인 비율이 높고 고령화가 빨라지고 있어 만성폐쇄성폐질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남대, 삼중 항암 면역치료법 개발
광열치료·항암백신·면역관문억제제를 혼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면역치료법이 전남대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전남대는 3일 이준행(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이시은(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박인규(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암면역치료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에 빛을 쬐어 없애는 광열치료, 높은 온도에서도 효능을 잃지 않는 플라젤린 면역증강제 첨가 면역 백신, 면역관문억제제 등을 병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암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 기존 면역치료법인 면역관문억제제와 암 백신은 각각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종양이 만들어내는 복잡하고 억제적인 미세환경(TME)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또 광열치료는 빛을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에 사용되는 높은 열이 오히려 면역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타깃 할 수 있는 '종양 특이적 나노입자'를 활용해 광열치료 효과를 최적화했고, 면역 백신과 면역관문억제제 등 3가지를 함께 적용하는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