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아산병원,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 평가' 9회 연속 1등급

폐기능검사 시행률 등에 높은 점수…호흡기 질환 관리·치료 수행

  강릉아산병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제9차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적정성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

 강릉아산병원은 9회 연속 1등급 평가를 받았다.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 평가는 환자의 질병 악화와 입원을 줄이고 합병증을 조기 발견해 치료하는 등 환자 관리의 질 향상을 위해 2013년부터 시행해오고 있다.

 이번 평가는 지난해 만 40세 이상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치료한 전국 6천339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폐기능검사 시행률, 지속 방문 환자 비율,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 비율 등을 평가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흡연이나 실내외 먼지ㆍ가스 등에 의해 기도와 폐포가 손상돼 호흡기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유창식 강릉아산병원장은 "강원도의 경우 노인 비율이 높고 고령화가 빨라지고 있어 만성폐쇄성폐질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