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부모에게 아기 건강관리 문자 보내면…아기 비만 예방 효과"

美 연구팀 "의사 상담+건강관리 문자, 24개월 아기 비만 감소 효과"

 부모에게 소아과 의사의 건강 상담과 함께 건강지식 기반의 아기 건강관리 문자 서비스를 하면 생후 24개월 이내 영유아의 비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밴더빌트대 윌리엄 히어맨 교수팀은 7일 미국 의학협회 저널(JAMA)에서 900쌍의 부모-아기를 소아과 의사 상담을 받는 그룹과 상담 및 건강정보 서비스를 병행하는 그룹에 무작위 배치하고 2년간 아기의 성장을 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어린이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고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등 건강에 장기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영유아기부터 나타나는 과체중 및 비만을 예방하는 게 각국 보건 당국의 과제가 되고 있다.

 연구팀은 영유아 성장 과정은 장기적으로 비만과 심혈관 질환을 예측 요소로 여겨지지만, 생후 24개월간 비만 예방을 위해 고안된 개입 방법들은 대부분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의사 상담 그룹의 체중/키 평균은 15.1㎏/m, 의사 상담+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그룹은 14.8㎏/m으로, 상담과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를 병행할 경우 생후 24개월 시점의 체중/키가 0.33㎏/m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개월 시점에 과체중 또는 비만 아기의 비율도 의사 상담 그룹이 24.5%로 의사 상담과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병행 그룹(23.2%)보다 높았다.

 또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는 어린이 비만 고위험군을 포함해 인종적, 민족적으로 다양한 집단에서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소아과 의사의 건강관리 상담에 건강정보 기반의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추가하면 두 살 때까지 체중이 더 건강하게 변화하고 비만 발생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영유아 비만 감소 효과는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가 대규모로 시행될 경우 인구 수준에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광범위한 시행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출처 : JAMA, : William J. Heerman et al., 'A Digital Health Behavior Intervention to Prevent Childhood Obesity The Greenlight Plus Randomized Clinical Trial',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fullarticle/10.1001/jama.2024.22362?guestAccessKey=718ecc07-ada5-431f-a301-60824022ecfb&utm_source=For_The_Media&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ftm_links&utm_content=tfl&utm_term=11032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