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 환자 치명률↓ 장애율↑…질병청 8년간 6만건 조사

 국내 중증 외상 환자의 치명률이 최근 8년 사이 감소했지만, 장애율과 중증장애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27일 서울대 어린이병원에서 '국가손상조사감시체계 20주년 국제심포지엄'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중증 외상은 운수사고, 추락·미끄러짐 등에 의한 외상 중 손상중증도 점수가 높거나(16점 이상) 외상에 의해 병원 도착 전 심정지 또는 사망한 경우를 가리킨다.

 질병청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119구급대가 응급실로 이송한 중증손상과 다수사상 6만건가량을 전수조사한 결과, 환자들의 치명률(사망한 환자 분율)은 65.5%에서 52.5%로 13.0%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생존환자 중 퇴원 시 활동 장애 정도가 '식물인간·중증장애·중등도장애인'로 판정된 이들의 분율은 64.1%에서 77.4%로 13.3%포인트 늘었다.

 중등도장애인을 제외하고 식물인간·중증장애인 비율만 따진 '중증장애율'은 31.6%에서 36.3%로 4.7%포인트 증가했다. 

 질병청은 이 외에도 기존에 공개된 퇴원손상심층조사 등 손상조사 감시 사업의 주요 결과를 발표하고 활용과 개선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또 국가손상조사감시사업에 적극 참여해 손상 예방에 기여한 유공기관과 유공자에게 보건복지부장관상 11점, 질병관리청장상 39점을 수여했다.

 심포지엄에는 미국 새크라멘토 소방서의 케빈 맥키 이사, 조지아 어거스타 의대 필립 쿨 교수, 아시아 응급의학회장인 필리핀대학 폴린 콘보카 교수 등이 참석해 미국과 아시아의 손상 발생 현황·대응체계를 소개하기도 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손상 현황과 위험 요인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국가손상조사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생애주기별 맞춤형 예방 관리 사업을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이전 칼럼에 언급한 대로 씨앗과 채소, 과일 등의 신선 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채로 먹는 것이 대부분의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식생활이다. 일례로 채소가 몸에 좋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왜 그럴까? 채소는 비타민 등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유질이 많아 대장운동을 촉진한다. 이게 결국 장내세균이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환경을 위해 되도록 첨가물이 적고 원래 식자재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유럽 사람들이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장내세균을 조사했다. 현대적 기법으로 장내세균 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사람의 장내세균 분포가 서너 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장내세균의 패턴에 따른 체질, 수명, 또는 특정 질병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속해 연구하고 있다. 아직 뚜렷한 결과는 없지만 그래도 분명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 거라고 기대한다. 인간을 네 부류로 나눈다는 관념에는 굉장히 흥미로운 구석이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런 전통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혈액형을 A, B, O, AB형 네 가지로 나누고, 한의학에서도 체질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 가지로 나눈다. 또 서양의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