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물 유래 펩타이드, 구리 대사 이상 간 기능 개선

구리 과잉 섭취로 작아진 간 정상 회복…해양생물자원관 특허 출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소재개발연구실 정승현 박사 연구진이 해양생물 유래 펩타이드가 구리 대사 이상으로 손상된 간 기능을 개선하는 사실을 확인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16일 밝혔다.

 구리는 필수 영양소로 간·심장 발달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섭취하거나 유전적으로 구리 대사 이상이 있으면 여러 장기에 쌓여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료제도 신경계 손상 등 부작용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다.

 연구진은 혈장에 있는 구리와 결합하는 단백질 세룰로플라스민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동물모델 연구에서 구리 과잉으로 인한 간 손상을 회복시키는 데 성공했다.

 간이 발달하는 시기에 구리에 과잉 노출되면 정상 간 크기보다 58% 감소됐으나, 구리 결합 펩타이드를 투여한 결과 80∼94% 크기로 회복됐다.

 최완현 해양생물자원관장은 "해양생물 유전체 정보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이용한 구리 대사 조절 물질 개발로 간 질환 예방과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인체 적용 가능한 후보 물질을 발굴해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이전 칼럼에 언급한 대로 씨앗과 채소, 과일 등의 신선 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채로 먹는 것이 대부분의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식생활이다. 일례로 채소가 몸에 좋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왜 그럴까? 채소는 비타민 등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유질이 많아 대장운동을 촉진한다. 이게 결국 장내세균이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환경을 위해 되도록 첨가물이 적고 원래 식자재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유럽 사람들이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장내세균을 조사했다. 현대적 기법으로 장내세균 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사람의 장내세균 분포가 서너 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장내세균의 패턴에 따른 체질, 수명, 또는 특정 질병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속해 연구하고 있다. 아직 뚜렷한 결과는 없지만 그래도 분명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 거라고 기대한다. 인간을 네 부류로 나눈다는 관념에는 굉장히 흥미로운 구석이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런 전통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혈액형을 A, B, O, AB형 네 가지로 나누고, 한의학에서도 체질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 가지로 나눈다. 또 서양의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