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관절치환술 수혈률 32%…감소 추세지만 주요국 대비 높아

심평원 "안정적 혈액공급·환자안전 위해 불필요한 수혈 줄여야"

 국내에서 무릎관절치환술 등을 하면서 수혈하는 비율이 줄고는 있지만 여전히 다른 주요국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2023년 수혈 2차 적정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작년 3∼8월 전국 1천188개 의료기관의 무릎관절치환술과 척추후방고정술 환자 수혈률은 각각 32.2%, 24.4%였다.

 무릎관절치환술은 통증의 원인이 되는 낡은 무릎 관절면을 제거하고 인공관절로 바꾸는 수술이고, 척추후방고정술은 허리뼈 신경 압박이 심하거나 손상된 경우 허리뼈 사이를 핀이나 나사못 등으로 고정하는 수술이다.

 수술 중 불가피하게 환자 수혈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나 안정적인 혈액 공급과 수혈 환자 안전을 위해선 불필요한 수혈을 줄일 필요가 있다.

 무릎관절치환술 수혈률은 2016년 78%(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연구)에 달했으나 2020년 1차 적정성 평가에서 41.0%로 줄었고, 이후 3년 새 8.8%포인트가 더 줄었다.

 2차 평가에서 추가된 척추후방고정술 수혈률도 2016년엔 54.8%였다.

 다만 다른 주요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편이다.

 심평원에 따르면 무릎관절치환술 수혈률은 미국 8%, 영국 7.5%, 호주 14%이고, 척추유합술의 경우 미국 12.4%, 영국 7.7%, 캐나다 18%(이상 2013∼2017년 각국 보고서) 수준이다.

 심평원은 "우리나라는 주요 헌혈 인구인 10∼20대 감소로 혈액 보유량은 줄고 고령화로 인한 중증질환으로 혈액 수요는 늘고 있다"며 "안전하고 적정한 혈액사용 관리를 위한 평가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평가에선 수혈 체크리스트를 보유한 의료기관 비율이 77.7%로, 1차 평가 대비 12.9%포인트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개선됐다고 심평원은 밝혔다.

 의료기관별 평가 결과는 심평원 누리집과 '건강e음' 앱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필수의료 강화·전공의 연속근무 단축 법안, 국회 복지위 통과
필수 의료를 강화하고 지역 간 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특별법과 전공의 연속 근무 시간을 최장 36시간에서 24시간으로 단축하는 법안이 일제히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했다. 복지위는 이날 전체 회의에서 '필수 의료 강화 지원 및 지역 간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한 특별법안'과 '전공의의 수련환경 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 개정안을 의결했다. 필수 의료 특별법은 필수 의료 개념을 명확히 규정하고 국가 차원의 재원 마련 및 지원 방안을 담고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가 5년마다 필수 의료 종합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시행계획도 매년 수립하도록 한다. 복지위는 이해관계자들 간 쟁점인 지역의사제 조항은 별도로 다루기로 하고 이번 특별법에서 제외하되, 지역 필수의사 등 지역 의료기관에 종사할 의료인력 양성·지원책을 마련한다는 내용은 특별법에 포함했다. 이날 통과된 전공의법 개정안은 전공의 연속 근무 시간을 최장 24시간으로 제한하고, 휴게·휴일 근로에 대해 근로기준법을 적용하는 내용이 골자다. 응급의료 종사자 폭행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폭행 피해를 본 종사자에 대한 보호 등을 명시한 응급의료법 개정안도 이날 전체 회의를 함께 통과했다. 한편 복지위는 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임신중 타이레놀 자폐증 유발" 트럼프 발언에 제약업계 긴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명 해열·진통제 '타이레놀'의 자폐아 위험성을 언급하자 국내 제약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의학적 근거가 불확실한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소비자들이 동요할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당시 국내 보건당국의 타이레놀 권장으로 해열·진통제 판매가 급감한 것과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4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이 자폐아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식품의약국(FDA)을 통해 이를 의사들에게 통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타이레놀 제조사 켄뷰는 당일 반박 성명에서 "독립적이고 신뢰할만한 과학적 연구는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증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준다"며 "우리는 이와 반대되는 어떠한 주장에도 강력하게 동의하지 않으며, 이러한 주장이 임신부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깊이 우려한다"고 밝혔다. 켄뷰는 "임신 기간 중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에게 가장 안전한 진통제"라며 "복용하지 않으면 열을 치료하지 못해 유산, 자폐증, 선천적 기형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 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