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커피값, 세계적으로 비싸다?

라테 가격 기준, 한국 중하위권…스위스 가장 비싸
일평균 소득 대비 커피값 비중도 한국 높지 않아

 최근 커피 원두 가격이 가파르게 오른다는 보도가 이어지자 일상에서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기는 직장인들이 사이에서 "이젠 커피도 줄여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커피값이 다른 나라에 비해 비싸다는 이야기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제기되면서 경제적 부담이 크다는 인식도 적지 않게 퍼져 있다.

 과연 우리나라의 커피 가격이 유달리 높은 것일까.

 세계적인 커피 전문점 스타벅스의 라테 가격을 통해 알아본 결과, 주요국들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커피값은 중간 수준 정도로 볼 수 있다.

 가격정보 제공업체 글로벌프로덕트프라이시스닷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스타벅스 라테 톨 사이즈 가격은 지난해 12월 기준 3.8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당시 원/달러 환율을 적용하면 5천원가량에 해당한다.

 한국의 라테 가격은 조사 대상 37개국 가운데 21위로, 순위상 중하위권 수준이었다.

 글로벌프로덕트프라이시스닷컴은 국가별로 적어도 3곳 이상의 대형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판매업체의 자료를 취합해 가격을 산출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라테 가격이 가장 비싼 나라는 스위스로, 한 잔 가격이 8.48달러에 달했다. 이는 우리나라의 2배 이상으로,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8달러를 넘었다.

 다음으로 비싼 나라는 미국(5.95달러), 칠레(5.92달러), 벨기에(5.92달러), 홍콩(5.66달러), 프랑스(5.60달러), 핀란드(5.55달러), 오스트리아(5.44달러), 영국(5.38달러), 아일랜드(5.29달러)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라테 가격이 가장 저렴한 나라는 튀르키예(1.89달러)로,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라테 가격이 제일 비싼 스위스에서 라테 한 잔을 사는 비용으로 튀르키예에선 4.5잔을 살 수 있는 셈이었다.

 ◇ 소득 대비 커피값 부담도 한국은 낮은 편

 커피 가격이 그 나라 생활 수준에 비춰 얼마나 부담스러운지 알아보기 위해 각국의 1인당 일평균 소득에서 커피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봤다.

 1인당 일평균 소득은 물가 수준을 반영한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 per capita PPP)을 365로 나눠 산출했다.

 그 결과, 모로코(12.9%), 인도(12.7%), 필리핀(11.0%)이 커피값 부담이 컸다. 이들 국가는 라테를 8∼9잔 사 마시면 하루 소득을 모두 소진하게 된다.

 인도네시아(7.8%), 칠레(7.3%), 남아프리카공화국(6.9%), 중국(6.8%), 멕시코(6.4%) 등도 일평균 소득 대비 커피 가격의 비중이 높았다.

 한국의 커피값 부담은 2.7%로, 조사 대상 국가 중 30위에 해당해 낮은 편에 속했다.

 커피 가격이 가장 비쌌던 스위스의 경우 소득 대비 비중은 3.7%로 중위권에 속했다.

 소득 대비 커피 가격의 비중인 가장 낮은 국가는 아일랜드(1.7%)로, 하루 소득으로 라테 59잔을 살 수 있는 수준이었다.

 뉴질랜드(1.8%), 터키(2.0%), 이탈리아(2.2%), 호주(2.2%) 등도 소득 대비 커피 가격의 비중이 낮은 편이었다.

 이처럼 주요 국가 간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커피 가격이 비싸지는 않았지만 안심할 순 없는 상황이다.

 국제 커피 원두 가격이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어 향후 커피값이 오를 가능성이 열려 있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의 인터콘티넨털 익스체인지(ICE)선물거래소에서 아라비카 커피의 선물 가격이 올해 들어서 70% 가까이 상승했다.

 일반적으로 인스턴트 커피나 저가 커피에 주로 사용되는 로부스타 품종은 영국 런던국제금융선물거래소(LIFFE) 기준으로 올해 70% 넘게 뛰었다.

 이 같은 급등세는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 브라질과 또 다른 주요 생산국인 베트남에서 발생한 가뭄이나 건조한 날씨, 태풍 등 비우호적인 기후 환경으로 인해 공급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글로벌프로덕트프라이시스닷컴의 이번 가격 자료가 지난해 12월 기준인 점을 감안하면 최근 실제 커피 가격은 그보다 더 올랐을 수 있다.

 실제로 스타벅스 코리아가 올해 8월 원두 상품군에 속한 일부 제품의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표> 세계 라테 가격 순위

(단위: 달러, %)

 

순위 국가 라테 가격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 일평균 소득 일평균 소득 대비 라테 가격 비중
1 스위스 8.41 82,914 227 3.7
2 미국 5.95 73,637 202 2.9
3 칠레 5.92 29,507 81 7.3
4 벨기에 5.92 63,572 174 3.4
5 홍콩 5.66 64,431 177 3.2
6 프랑스 5.60 55,214 151 3.7
7 핀란드 5.55 57,506 158 3.5
8 오스트리아 5.44 64,644 177 3.1
9 영국 5.38 54,126 148 3.6
10 아일랜드 5.29 115,625 317 1.7
11 독일 5.13 61,909 170 3.0
12 네덜란드 4.97 69,336 190 2.6
13 슬로바키아 4.50 39,260 108 4.2
14 스페인 4.50 46,357 127 3.5
15 그리스 4.40 36,268 99 4.4
16 체코 4.39 47,731 131 3.4
17 폴란드 4.14 44,051 121 3.4
18 중국 4.13 22,135 61 6.8
19 캐나다 4.04 55,818 153 2.6
20 멕시코 3.91 22,367 61 6.4
21 한국 3.80 50,572 139 2.7
22 일본 3.62 46,268 127 2.9
23 말레이시아 3.58 33,574 92 3.9
24 불가리아 3.54 33,289 91 3.9
25 호주 3.53 59,456 163 2.2
26 포르투갈 3.46 41,710 114 3.0
27 헝가리 3.30 40,554 111 3.0
28 인도 3.18 9,172 25 12.7
29 이탈리아 3.14 52,700 144 2.2
30 세르비아 3.13 24,511 67 4.7
31 모로코 3.11 8,782 24 12.9
32 인도네시아 3.01 14,073 39 7.8
33 필리핀 2.92 9,695 27 11.0
34 남아프리카공화국 2.70 14,284 39 6.9
35 아르헨티나 2.55 26,467 73 3.5
36 뉴질랜드 2.39 48,778 134 1.8
37 튀르키예 1.89 34,414 94 2.0

 

※ 가격정보 제공업체 글로벌프로덕트프라이시스닷컴 자료.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는 세계은행(WB) 자료로 2021년 불변 가격 기준 수치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