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넘긴 의정 갈등…의료계 이끌 의협 회장선거 투표 내일 개시

5명 후보 놓고 2∼4일 투표 후 7∼8일 결선…당선 후 바로 취임
대정부 강경파가 다수…2026년 의대 정원·의료개혁 향방 등에 영향

  의료계 유일한 법정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새 수장을 뽑는 투표가 2일 개시된다.

 의대 증원이 촉발한 의정 갈등이 결국 해를 넘긴 가운데 의협 새 회장이 누가 되는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과 전공의 복귀 논의 등에 상당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1일 의협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총 5만8천634명의 선거인이 오는 2∼4일 사흘간 전자투표 방식으로 제43대 회장을 선출한다.

 이번 선거는 지난해 5월 취임한 임현택 전 회장이 막말과 불통 논란 속에 6개월 만에 탄핵되면서 치러지는 보궐 선거다.

 4일 투표 마감 후 개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1∼2위 후보가 7∼8일 결선 양자 대결을 치른다.

 후보가 5명이나 되고 판세를 예측하기 쉽지 않은 만큼 승자는 결선에서 가려질 가능성이 크다.

현재 회장이 공석이어서 당선인이 확정되면 곧바로 취임해 임기를 시작한다.

 새 의협 회장은 2025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1월 3일까지)가 끝난 후에 취임하는 만큼 지금까지 의료계가 주장해온 '2025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가 더는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 의료계의 대정부 방침을 정해야 한다.

 지난달 총 여섯 차례 토론회 등에선 대체로 투쟁 기조를 강조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인 후보들이 많았다.

 유일한 교수 후보인 강희경 후보가 비교적 온건파로 꼽히고, 나머지 4명은 강경파로 분류된다. 다만 개별 사안을 놓고 보면 온도 차는 있다.

 지난달 21일 서울시의사회 주최로 열린 후보자 토론회에선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을 2025학년도에 증원된 만큼(약 1천500명) 줄여주겠다고 할 경우 받아들일 것이냐'는 질문에 이동욱, 최안나 후보가 "그렇다"고 답했다.

 김택우, 강희경, 주수호 후보는 이미 내년도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는 점 등을 들어 제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강희경 후보의 경우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이 0∼500명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투쟁만으로는 돌파구를 기대하기가 어렵고, 그대로 있을 경우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역시 2025학년도 수준으로 결정될 수 있어 누가 당선되든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 정부와 논의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2026학년도 의대 정원 확정까지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고, 당장 내달 정부의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발표와 3월 전공의 수련 개시, 새 학기 개강을 앞두고 있어 새 집행부도 빠르게 입장 정리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