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여행자 변종 엠폭스 발병 끊이지 얺아…WHO, 주의 당부

 아프리카로 여행을 다녀온 사람이 변종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사례가 끊이지 않으면서 세계보건기구(WHO)가 각국에 질병 감시 강화를 주문했다.

 WHO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상황 보고서를 통해 엠폭스의 새로운 변종 하위계통인 1b형(Clade 1b)에 감염된 사례가 아프리카가 아닌 지역에서도 속속 보고되고 있다고 전했다.

 1b형 엠폭스는 기존 2형 엠폭스에 비해 전파 속도가 빠르고 치명률도 상대적으로 높다. 작년 초부터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WHO는 같은 해 8월 최고 수준의 보건 경계태세인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하기도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독일 쾰른에서 1b형 엠폭스 발병 사례가 보고됐다. 작년 10월 첫 사례가 나온 뒤 2번째로, 가족까지 바이러스에 감염돼 환자 4명이 발생했다.

 WHO는 "벨기에와 프랑스에서도 1b형 바이러스 감염 보고가 있었고 남동 유럽의 코소보에서도 엠폭스 첫 발병 사례가 보고됐으나 바이러스 하위계통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1b형 발원지인 아프리카에서는 여전히 바이러스가 확산 중이다.

 가장 많은 감염자가 나온 콩고민주공화국을 비롯해 부룬디, 우간다 등지에서는 작년 11월 25일부터 지난 5일 사이 4천58건의 엠폭스 감염 사례와 13건의 사망 사례가 나왔다.

 아프리카가 아닌 국가에서 보고된 발병 사례는 모두 아프리카 여행자에 의해 발병 또는 감염이 이뤄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WHO는 "현재 아프리카 중부 국가에서 엠폭스가 높은 수준으로 발병하고 있으며 해외 확산 위험이 존재한다"며 "여행은 사전에 위험이 탐지되지 않은 지역으로 감염을 전파하는 위험을 야기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점을 고려해 각국은 감시를 강화하고 제때 질병 발생 보고를 할 필요가 있다"며 "국제적 확산을 막기 위해 각국의 협력이 필요한 시기"라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먹는 코로나 치료제 약국 재고 점검…"개선 모색"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중 하나인 '팍스로비드'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질병관리청이 관계기관 간 협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질병청은 임숙영 차장이 6일 서울시 소재 조제약국과 호흡기 클리닉을 방문해 현장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팍스로비드는 코로나19 중증 환자 또는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 환자에게 처방되는 먹는 치료제다. 질병청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약국 등에 공급하다가 지난 6월부터 약국 및 의료기관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사용하는 시중 유통체제로 전면 전환됐다. 환자 본인 부담금은 한 팩(30정)에 4만7천원 수준으로 크지 않지만,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는 비용까지 합산하면 약값이 10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의 약이다. 현행 체제에선 약국이 먼저 제약사에 약값을 지불한 뒤 재고로 보유하고 있다가 실제로 약이 판매되면 환자와 공단에 약값을 청구해서 받아야 한다. 약이 팔리지 않으면 제약사에 반품할 수 있기는 하지만 워낙 약값이 비싼 탓에 애초에 물량을 많이 구비해두는 약국이 적은 것으로 질병청은 보고 있다. 이 경우 환자가 조금만 늘어도 금방 재고가 동날 수 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