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매독 등 성매개감염병 3천100건…1년 전보다 22% 급증

질병청 "위험한 성접촉 피해야…성병 의심되면 곧바로 검사"

 지난해 12월 한 달간 매독 같은 성매개 감염병이 1년 전보다 22%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의료기관 등을 통해 신고된 성매개 감염병은 총 3천100건이었다.

 성매개 감염병은 지난해 하반기 들어 한풀 꺾여 7월 3천770건에서 11월 3천9건까지 줄었으나 12월에 반전했다.

 작년 11월과 비교했을 때 12월에 매독과 성기단순포진, 임질의 발생 건수가 10% 이상 많아졌다.

 12월 매독 환자 신고 건수는 222건으로, 한 달 사이 15.0% 늘었다.

최근 6개월 성매개 감염병 신고 현황

 매독은 매독균 감염에 따라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 질환이다. 성 접촉이나 수직 감염, 혈액을 통한 감염으로 전파된다.

 장기간에 걸쳐 퍼질 수 있고,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중증 합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

 4급 감염병이었던 매독은 지난해 3급으로 한 등급 올라 전수감시 대상이 됐다.

 나머지 성매개 감염병 감시는 표본감시 체계로 운영된다.

 같은 기간 성기단순포진은 13.5%, 임질은 12.2%의 비율로 환자가 증가했다.

 반면 성기 또는 항문 주변의 사마귀성 질환인 첨규콘딜롬과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각각 12.8%, 3.1%씩 감소했다.

 질병청은 성매개 감염병 확진을 막으려면 위험한 성접촉을 피하고, 성병이 의심되는 경우 비뇨의학과나 산부인과 등 가까운 병의원에서 바로 검사받을 것을 당부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월급 2천만원대도 의사 못 구해" 의료취약지 응급실 문 닫을 판
인구 3만여명이 사는 충북 보은지역의 유일 응급의료기관인 보은한양병원이 전담의사를 구하지 못해 응급실 문을 닫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 사직 전공의의 수련병원 복귀 등으로 시골병원 인력난이 극심해지고 있어서다. 이 병원에 따르면 지난 달까지 4명의 전담의사로 응급실을 운영했지만, 이 중 3명이 최근 수련병원에 복귀하거나 근무조건이 더 좋은 곳으로 이직했다. 24시간 응급실을 정상적으로 운영하려면 적어도 4명의 의사가 있어야 한다. 병원 측은 내년 초 입대 예정인 전공의 1명과 다른 병원 의사 3명을 시간제로 고용해 가까스로 응급실을 가동하는 상황이다. 병원 관계자는 "여러 차례 모집 공고를 냈지만 연락오는 의사가 한 명도 없다"며 "어렵사리 응급실 문을 열고 있지만 언제까지 버틸지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응급실 전담의사 모시는 게 '하늘의 별따기'가 되면서 몸값도 치솟아 경영에 큰 부담이 된다"며 "세후 월급이 1천500만원에서 2천만원대로 올라서는 데 채 1년도 걸리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의료취약지 응급실 인력난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의정 갈등을 겪으면서 더욱 심화했다는 게 의료계 분석이다. 사직 전공의가 한꺼번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