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는 이제 옛말?…HSP 테스트 주목

 MBTI에 이어 새로운 성격 테스트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MZ 세대 사이에서 '예민한 사람 테스트'로 불리는 'HSP 테스트'가 요즘 인기를 끌고 있다는데요.

어떤 테스트이고, 왜 주목받는지 알아봤습니다.

 HSP 성향을 가진 사람은 보통 감각적, 정서적 자극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이 있는데요.

 작은 소리나 강한 빛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타인의 감정을 잘 알아채는 경향도 있죠.

 또, 자기 주관이 강하고 기준이 분명해서 미적 감각에도 확고한 취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는 HSP 간이 테스트는 보통 20~30개 질문으로 구성돼 있는데요.

 테스트마다 다를 수 있지만, 7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5점 이상이면 HSP 성향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최근, 이 테스트가 주목받는 이유는 MBTI처럼 자신의 성향을 이해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감정적으로 매우 예민한 사람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 HSP를 활용하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관심을 받는 거죠.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손옥선 교수는 "삶에 대한 모든 질문에 대한 대답은 '나는 어떤 사람인가'를 잘 이해하는 데서 시작하는데, HSP 테스트가 자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민감한 성향을 가졌다는 것은 약점이나 강점이 아니라, 잘 조절해서 사용해야 하는 일종의 능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세가산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허규형 원장은 "사람이 가진 성격이나 기질에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예민한 성향을 단순히 부정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면서 "어떤 문제에 대해 다른 사람보다 더 깊이 생각하고 더 잘 공감하는 그런 능력이 장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너무 예민한 성향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면 긴장을 풀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자신만의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허규형 원장은 "조용한 곳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혼자 휴식을 취하는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면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도 에너지를 많이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했습니다.

 손옥선 교수는 "HSP는 정신건강의학과의 정식 진단 결과가 아니고 타고난 신경계가 예민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일 뿐"이라며 "자신을 향해 '내가 다른 사람과 똑같아야 할 이유는 없다', '예민한 성향은 나만의 고유한 특성이다'라는 이야기를 해 주는 게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 속 의사·한의사 '영역 다툼'도 격화…"공개 토론하자"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 사태 속에서 의사와 한의사 간 영역 다툼도 심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의사들이 의료 공백을 악용해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한방 치료의 효과 등을 주제로 대국민 공개 토론회를 하자고 한의계에 제안했다. 박상호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장은 "한의계는 정부의 일방적 의대 증원 사태로 촉발된 의료 공백을 악의적으로 이용해 필수·공공의료 분야에 한의사를 활용하라는 등 얄팍한 주장을 거듭하고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경찰이 부족하다고 경비원에게 수갑을 쥐어 줄 건가. 판·검사가 부족하다고 사법고시 강사가 재판을 보게 할 건가"라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의과 진단·검사기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의사 면허나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자격증이라도 따시라"며 "면허는 종이쪼가리가 아니라 생명에 대한 책임이다. 의과 진료 따라잡기와 어설픈 의학 흉내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재만 부위원장은 ▲ 한의사의 방사선·초음파 기기 사용 ▲ 리도카인 등 의약품의 무분별한 사용 ▲ 한방난임지원사업 ▲ 한의사의 치매 진단서·소견서 발급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건강을


메디칼산업

더보기
검찰, 3개 중견 제약사 수사…'전공의 리베이트' 관련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 담당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 3곳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제약사는 2021년 리베이트 제공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도 의료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아울러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도 각각 의료법 위반·배임수재 또는 약사법 위반·배임중재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뇌물을 준 경우에 적용되는 배임중재 혐의 외에도 약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사문서위조,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서울 한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노원경찰서는 2023년 7월 이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으나 서울경찰청의 재조사 지휘를 받고 다시 조사에 착수했고,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