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8일 조간)

▲ 경향신문 = 진실 덮다 서울로 넘긴 창원지검, '명태균 수사' 시늉만 했나

하다 하다 목사·스님에 선거감독 맡기자는 전광훈

이선균 이어 김새론의 죽음, 언론과 악플러 성찰해야

의대 정원 논의 '평행선', 언제까지 시간만 낭비할 텐가

▲ 동아일보 = 명태균 件 서울로, 황금폰도 다 복원… '게이트' 싹 열어젖혀야

"52시간제로 R&D 성과 줄어"… 그런데도 예외조항 뺀다는 野

유명 재수학원 1년 비용이 의대 6년 등록금… 웃지 못할 현실

▲ 서울신문 = '주 52시간' 원위치, 상속세 반쪽 개정 野… 성장우선 맞나

노골적 헌재 압박… 이런 여론전, 집권당이 할 일인가

'강남 영어 도우미'로 주저앉은 필리핀 가사관리사

▲ 세계일보 = 檢 명태균 수사 '빈손 이첩', 이러니 특검 주장 커지는 것

반도체법 '주 52시간 제외' 빠져… AI 전쟁 살아남겠나

김새론의 비보, 사람 잡는 악성 댓글 더는 방치 안돼

▲ 아시아투데이 = 'TF 대본' 따른다는 헌재 재판을 누가 믿나

대학가로 번지는 尹 탄핵반대 시국선언

▲ 조선일보 = 연금 개혁, 민주당 단독 처리라도 지금 해야만 한다

민주당 의원들이 사전 연습·회유한 특전사령관 증언

우크라 국민 짓밟고 서서 악수하는 트럼프와 푸틴

▲ 중앙일보 = 중도층 등 돌리는데 탄핵 반대에만 매달리는 국민의힘

안 그래도 갈라지는 나라, 가짜뉴스 망령까지 동원하나

▲ 한겨레 = '명태균 수사' 이제 와서 중앙지검에 넘긴 검찰

국민의힘 수렁으로 모는 권영세 선 넘은 내란 옹호

지금 상속세 완화할 때 아니다

▲ 한국일보 = 듣기 좋은 말만 듣겠단 尹·李 '우리편 유튜브' 편애

권력 눈치만 보다 '명태균 게이트' 핵심 손도 못 댄 검찰

연예인에게 더 가혹한 무관용 '나락 문화' 반성해야

▲ 글로벌이코노믹 = 트럼프 상호관세, 글로벌 협력이 답이다

연초 금융시장 자금 이탈, 예삿일 아니다

▲ 대한경제 = 건설현장 화재 대형화… 규정만 지켜도 막을 수 있다

시동 건 통상외교, 주고받는 딜로 관세폭탄 최소화해야

▲ 디지털타임스 = 與는 헌재로, 野는 서부지법으로… 사법부 `자업자득` 아닌가

광주 반탄집회 참가자 `악마`라는 李, `전체주의 사고` 위험하다

▲ 매일경제 = 반등한 둘째 출산…'아이 키울만하다'는 인식 확산 이어가야

졸면 죽는 냉엄한 글로벌 경쟁, 산으로 가는 반도체 특별법

美, 우크라에 "희토류 절반" 요구…힘없는 나라의 현실

▲ 브릿지경제 = K-배터리 북미 생산 거점으로 기회 요인 잡자

▲ 서울경제 = 의정 갈등 1년, 與野醫政 의대 정원·의료 정상화 논의하라

미·러 금주 우크라 종전 협상, 自强이 국가안보 핵심 깨달아야

巨野 "AI·방산이 성장 엔진" …역주행 입법으론 진정성 입증 못해

▲ 이데일리 = 탄핵 정국 속 첫 국정협의회, 이번엔 제대로 한번 해보라

美가 문제삼는 플랫폼법, 보복 본보기 될 이유 없다

▲ 이투데이 = '우크라 재건' 눈앞에…원팀 코리아로 적극 임해야

▲ 전자신문 = 해외 국책사업, 신뢰도 향상이 먼저

▲ 파이낸셜뉴스 = 첫 경제사절단 방미, 정부 대신해 협상 성과 내길

폴란드 원전 무산, 국정공백기 다른 건도 잘 살펴야

▲ 한국경제 = '문제 교사' 낙인 찍고 학교 불신 키우는 과잉 입법도 경계해야

최저임금위 37년 만에 개편, 노사 쌍방 입김 줄이는 방향이어야

천하의 인텔마저 삼켜버린 AI 태풍 … 누구도 안심할 수 없다

▲ 경북신문 = APEC 정상회의 준비에 비상… 이달 사실상 개막?

▲ 경북일보 = 지역의료 공백 장기화…정부 대책 내놔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 속 의사·한의사 '영역 다툼'도 격화…"공개 토론하자"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 사태 속에서 의사와 한의사 간 영역 다툼도 심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의사들이 의료 공백을 악용해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한방 치료의 효과 등을 주제로 대국민 공개 토론회를 하자고 한의계에 제안했다. 박상호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장은 "한의계는 정부의 일방적 의대 증원 사태로 촉발된 의료 공백을 악의적으로 이용해 필수·공공의료 분야에 한의사를 활용하라는 등 얄팍한 주장을 거듭하고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경찰이 부족하다고 경비원에게 수갑을 쥐어 줄 건가. 판·검사가 부족하다고 사법고시 강사가 재판을 보게 할 건가"라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의과 진단·검사기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의사 면허나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자격증이라도 따시라"며 "면허는 종이쪼가리가 아니라 생명에 대한 책임이다. 의과 진료 따라잡기와 어설픈 의학 흉내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재만 부위원장은 ▲ 한의사의 방사선·초음파 기기 사용 ▲ 리도카인 등 의약품의 무분별한 사용 ▲ 한방난임지원사업 ▲ 한의사의 치매 진단서·소견서 발급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건강을


메디칼산업

더보기
검찰, 3개 중견 제약사 수사…'전공의 리베이트' 관련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 담당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 3곳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제약사는 2021년 리베이트 제공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도 의료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아울러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도 각각 의료법 위반·배임수재 또는 약사법 위반·배임중재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뇌물을 준 경우에 적용되는 배임중재 혐의 외에도 약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사문서위조,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서울 한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노원경찰서는 2023년 7월 이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으나 서울경찰청의 재조사 지휘를 받고 다시 조사에 착수했고,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