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100명 중 1∼2명꼴 '조기폐경'…"당뇨병 위험↑"

폐경 여성 112만명 분석…"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으로 적정 체중 유지 중요"

 여성의 폐경은 주기적이던 생리가 완전히 멈추는 현상으로, 자연스러운 신체 변화 과정에 속한다.

 폐경은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에 시작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40세 이전의 젊은 나이에 일찍 폐경하는 여성들도 있다.

 여성의 난소가 빨리 기능을 멈추는 것이다.

 이처럼 조기에 폐경하게 되면 여러 가지 건강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조기 폐경이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됐다.

 고려대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남가은 교수,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준365의원 고병준 원장 공동 연구팀은 2009년 국가건강검진 당시 당뇨병(2형)이 없었던 30세 이상의 폐경 후 여성 112만5천378명을 2018년까지 평균 8.4년 추적 관찰한 결과 조기 폐경이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의학협회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근호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에서 폐경 연령은 50세 이상이 64.9%(73만595명)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45∼49세 27.6%(31만772명), 40∼44세 5.8%(6만4천700명), 40세 미만 1.7%(1만9천311명) 순이었다.

 우리나라 여성 100명 중 1∼2명꼴로 40세 전에 조기 폐경하는 셈이다.

 조기 폐경 여성은 50세 이상 폐경 여성에 견줘 도시보다 비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흡연, 운동 부족, 우울·불안 장애 등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연구팀은 생활 습관, 심혈관대사질환 위험인자, 정신건강, 생식 관련 요인을 보정한 후 폐경 연령에 따른 당뇨병 발생 위험을 비교 분석했다.

폐경 연령에 따른 당뇨병 발생률 [논문 발췌]

 그 결과 조기 폐경 여성은 조기 폐경이 아닌 여성에 견줘 당뇨병 발생 위험이 평균 13%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조기 폐경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이른 폐경에 속하는 40∼44세 폐경 여성도 같은 조건에서 당뇨병 위험이 3% 높았다.

 특히 조기 폐경 여성의 경우 체질량지수(BMI)가 18.5 미만이거나 우울증이 있으면 당뇨병 발병 위험을 각각 54%, 28%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조기 폐경으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없는 기간이 길어짐으로써 노화가 빨라지고 체내 DNA 손상 등을 통한 대사 기능 장애가 조기에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했다.

 에스트로겐은 동물실험에서 체내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을 줄이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가은 교수는 "조기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당뇨병 예방 전략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고 설명했다.

 고병준 원장은 "조기 폐경 여성이라면 당뇨병 위험이 높을 수 있는 만큼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으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등 생활 습관 관리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면서 "이와 함께 적극적인 정기검진을 통해 당뇨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극 치료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건보 이사장 "일산어린이병원 내달 착공…유사시엔 감염병 전문"
정기석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은 공단 일산병원에 2028년 개원을 목표로 어린이병원을 착공한다고 20일 밝혔다. 감염병 권위자이기도 한 정 이사장은 일산 어린이병원을 유사시엔 감염병 전문병원으로 전환해 운영한다는 구상도 내놨다. 지난해까지 4년 연속 흑자를 이어간 건보 재정에 대해선 올해도 급여 지출이 양호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5년간 10조원을 필수의료 등에 투입한다는 정부 계획이 실행되면 적자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 이사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영등포북부지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공단의 올해 핵심 추진과제들을 설명했다. 일산어린이병원의 경우 일산병원 옆에 지하 4층, 지상 6층 규모의 독립건물을 내달 착공해 응급·배후진료가 연계된 경기북부 지역완결형 어린이 진료체계를 운영한다는 목표다. 경기북부 권역에 응급에서 재활까지 종합기능을 갖춘 어린이병원이 부재한데 수익성을 고려할 때 민간 설립 기대는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정 이사장은 "(별도 건물) 건축계획이 오래전부터 있었는데 최근 (소아진료 위기) 상황을 보면서 어린이병원으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일산병원의 적자가 심한 상황이지만 효율적으로 경영해 건립 예산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