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전문 의사·간호사 비율 증가"

심평원 "노령인구·만성질환자 증가로 혈액투석 환자 느는 추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전국 972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를 한 결과 의료진을 포함한 관련 지표가 전주기보다 대체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2023년(2주기 1차)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결과를 심평원 누리집(hira.or.kr)과 모바일 앱(건강e음) 등을 통해 공개했다.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신장대체요법 중 하나로, 혈액투석 환자는 노령인구와 만성질환자 증가로 계속 늘고 있다. 2023년 혈액투석 평가대상 환자는 4만3천664명으로 2009년(1만7천720명) 대비 146.4% 증가했다.

 심평원이 2023년 1∼6월 전국 972곳 의료기관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상 의료기관의 평균 종합점수는 82.4점이었다. 상급종합병원은 평균 95.8점, 종합병원 85.6점, 의원 82.0점을 각각 받았다.

 평가에선 의료진 관련 지표가 개선됐다.

 혈액투석 전문의사 비율은 75.0%로 직전 차수(1주기 7차, 73.8%)에 비해 1.2%포인트, 혈액투석 경력간호사 비율은 76.3%로 1.6%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의사 1인당 1일 평균 투석 건수는 25.4건으로 직전 차수(26.0건)보다 소폭 줄었고, 간호사 1인당 1일 평균 투석 건수 역시 4.9건으로 0.4건 감소했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 대상 의료기관의 94.7%가 수질검사 실시주기를 충족해 직전 차수(91.0%) 대비 3.7%포인트 개선됐다.

 정기검사 실시주기 충족률은 99.0%로 직전 차수(98.6%)보다 0.4%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투석 과정에서 제거된 혈중 요소량에 관한 지표인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은 94.7%로 직전 차수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전미주 심평원 평가운영실장은 "차기 평가에서는 외래영역뿐만 아니라 입원영역을 포함한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를 위해 관련 연구를 추진해 환자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생수 구입할 때 '미세플라스틱 인증' 지불의사액 1천68원
친환경 제품을 사도록 유도할 때 환경성뿐 아니라 '건강'과 같이 소비자에게 돌아오는 이득을 함께 강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한국환경연구원이 발간한 '지불의사액 추정을 통한 친환경 인증제도 개선방안 마련 연구' 보고서를 보면 생수의 경우 '저탄소 인증'에 대한 지불의사액이 896원으로 나타났다. 저탄소 인증은 '환경성적표지'를 받은 제품 중 생산과정에서 동종 제품 평균보다 탄소를 덜 배출한 제품에 부여된다. 생수 미세플라스틱 인증에 대한 지불의사액은 인증 등급이 올라갈 때마다 1천68원으로 분석됐다. 미세플라스틱 인증은 업계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인증으로 5㎛(마이크로미터)∼5㎜ 미세플라스틱이 나오지 않으면 받을 수 있다. '5㎛ 이상 불검출', '20㎛ 이상 불검출', '45㎛ 이상 불검출' 등 인증 등급은 3단계로 나뉜다. 지불의사액은 올해 1월 21∼23일 전국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도출됐다. 세탁세제의 경우 환경표지 인증 지불의사액은 1만5천575원이었고 영유아와 임신부에게 안전한 제품임을 나타내는 '맘가이드 클린마크'와 형광증백제가 들어가지 않은 제품에 부여되는 인증에 대한 지불의사액이 각각 6천809원과 1만7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