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전문 의사·간호사 비율 증가"

심평원 "노령인구·만성질환자 증가로 혈액투석 환자 느는 추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전국 972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를 한 결과 의료진을 포함한 관련 지표가 전주기보다 대체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2023년(2주기 1차)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결과를 심평원 누리집(hira.or.kr)과 모바일 앱(건강e음) 등을 통해 공개했다.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신장대체요법 중 하나로, 혈액투석 환자는 노령인구와 만성질환자 증가로 계속 늘고 있다. 2023년 혈액투석 평가대상 환자는 4만3천664명으로 2009년(1만7천720명) 대비 146.4% 증가했다.

 심평원이 2023년 1∼6월 전국 972곳 의료기관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상 의료기관의 평균 종합점수는 82.4점이었다. 상급종합병원은 평균 95.8점, 종합병원 85.6점, 의원 82.0점을 각각 받았다.

 평가에선 의료진 관련 지표가 개선됐다.

 혈액투석 전문의사 비율은 75.0%로 직전 차수(1주기 7차, 73.8%)에 비해 1.2%포인트, 혈액투석 경력간호사 비율은 76.3%로 1.6%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의사 1인당 1일 평균 투석 건수는 25.4건으로 직전 차수(26.0건)보다 소폭 줄었고, 간호사 1인당 1일 평균 투석 건수 역시 4.9건으로 0.4건 감소했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 대상 의료기관의 94.7%가 수질검사 실시주기를 충족해 직전 차수(91.0%) 대비 3.7%포인트 개선됐다.

 정기검사 실시주기 충족률은 99.0%로 직전 차수(98.6%)보다 0.4%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투석 과정에서 제거된 혈중 요소량에 관한 지표인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은 94.7%로 직전 차수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전미주 심평원 평가운영실장은 "차기 평가에서는 외래영역뿐만 아니라 입원영역을 포함한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를 위해 관련 연구를 추진해 환자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의학계의 화두, 장내 세균 지난 칼럼에 언급한 대로 현대인은 실질적인 영양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음식을 찾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무엇이 좋은 음식이고, 어떤 음식을 찾아 먹어야 할까? 결론은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왜 내가 아닌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할까. 여기에 답을 하려면 우선 장내세균이 무엇이고, 장내세균이 왜 중요한가에 대해 알아야 한다. 흔히 장내세균, 즉 우리 장 속에 있는 세균이라고 하면 대장균을 떠올릴 것이다. 대장균 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여름철 식중독,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하는 나쁜 세균으로 생각한다. 대장균은 흔히 위생 상태가 나쁜 곳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일부만 맞다. 어떤 음식에 대장균이 있다는 것은 본래는 동물의 대장에 있어야 할 대장균이 대변을 통해 그 음식으로 들어갔다는 말이므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장균은 장내세균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장내세균은 우리에게 엄청나게 중요한 균이다. 수십조 마리의 장내세균이 우리 몸속에서 살아가며 우리 몸의 건강과 면역기능 수행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