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이 근육·뼈 노화 막는다

생명연·전남대, 노화에 따라 변하는 'CLCF1' 단백질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양용열 박사와 전남대 김낙성 교수 연구팀은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 'CLCF1'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근골격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운동할 때 근육에서 혈액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인 '마이오카인'은 지방 분해 촉진, 뼈 형성 증가, 인슐린 감수성 개선, 염증 억제, 뇌 기능 향상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새로운 마이오카인을 찾거나 마이오카인의 기능을 밝히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선 젊은 사람들과 나이 든 사람들 두 그룹으로 나눠 운동시킨 뒤 혈액 속 'CLCF1' 단백질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분석했다.

 CLCF1은 225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마이오카인 단백질이다.

 실험 결과 젊은 사람은 단 한 번의 운동만으로도 단백질이 뚜렷하게 증가하지만, 노년층은 12주 이상 꾸준히 운동해야만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CLCF1을 주사하자 근육 힘이 세지고 뼈의 밀도도 높아진 반면, CLCF1의 작용을 억제하자 운동을 해도 별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CLCF1은 근육 안의 세포 에너지 공장이라 불리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향상하고, 뼈세포에서는 뼈를 녹이는 파골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는 반면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했다.

 양용열 박사는 "나이가 들수록 근골격 노화가 일어나고, 운동 효과가 떨어지는 이유가 몸속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변화 때문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밝혀냈다"며 "근감소증과 골다공증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 지난달 22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회장 "성분명 처방·한의사 엑스레이 허용시 총력 투쟁"
법정 의사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정부의 성분명 처방, 한의사 엑스레이(X-ray) 허용, 검체 검사제도 개편 등을 '악법'으로 규정하고 정부가 이를 허용할 경우 총력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범의료계 국민건강보호 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는 김택우 의협회장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연 전국 의사 대표자 궐기대회 대회사에서 이렇게 밝혔다. 김 회장은 "성분명 처방 강행은 곧 의약 분업의 원칙을 파기하는 것"이라며 "한의사에게 엑스레이 사용을 허용하는 것은 면허 체계의 근본을 훼손하는 의료 악법이고, 검체 검사 보상체계 개편도 개악"이라고 비판했다. 보건복지부는 과도한 할인 관행을 개선하고자 검체 검사 보상체계를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검체 검사 위탁 비중이 높은 동네의원들 입장에선 수입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개편이라 개원가를 중심으로 특히 반발하고 있다. 김 회장은 "이 세 가지 악법은 국회와 정부의 정책 폭주에서 나온 처참한 결과물"이라며 "국회와 정부가 의료계 대표자들의 외침을 외면한다면 14만 의사 회원의 울분을 모아 강력한 총력 투쟁에 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궐기대회에 참석한 의사들은 "환자 안전 위협하는 성분명 처방 규탄한다", "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