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0일 조간)

▲ 경향신문 = 30조 추경 신속 집행해 국민 시름 더는 마중물 삼길

추가 기소로 김용현 석방 막는 조은석, 특검이란 이런 것

안보·관세 현안 해결하려면 한·미 정상회담 시급하다

의대생 수업 복귀 방해… 고질적인 수직 문화 바꿔야

▲ 동아일보 = 무너진 '고용 저수지'… "공사장도, 함바집도, 목욕탕도 멈췄다"

韓日 국민 '경제-안보 전략적 이익' 공감… 양국 관계 새 장 열 때

내수-민생 지원에 20.2조 추경… '빈 곳간 채우기' 숙제 남았다

▲ 서울신문 = 2차 추경, 민생 마중물 되도록 정교한 후속 대책을

AI 인재 확보, 5년 아닌 100년 내다보고 국가 명운 걸길

'유권자 자작극' 음해까지… 선관위 개혁 지금이 적기다

▲ 세계일보 = 美, 이란에 최후통첩… 다가올 충격과 파장에 대비해야

국정기획委, 점령군 행세 말고 공약 추진 여부 따지길

김민석 인사청문회에 윤석열 부르겠다는 與

▲ 아시아투데이 = 30.5조 2차 추경, 민생경제 회복 온기 되기를

거세질 美 국방비 증액 압박, 철저히 대비해야

▲ 조선일보 = 李 "재정 써야 할 때" 쓸 재정 있느냐가 문제

한국형 '1000人 계획' 같은 특단 대책 필요하다

한덕수에겐 "1000건 내라" 자료 안 낸 김민석에겐 "깨끗"

▲ 중앙일보 = 나랏빚 걱정되는 '수퍼 추경' … 구조개혁 병행해야

국정원이 '한국형 모사드'로 거듭나려면

▲ 한겨레 = 내란 특검 김용현 추가 기소, 내란범 석방 용납 안된다

새 정부 첫 추경, 신속 집행으로 경기 마중물 돼야

더는 극한 대립 없도록 노란봉투법 입법 서둘러야

▲ 한국일보 = 추경 30조 성장 효과 0.2%P… 신속집행이 중요하다

이종석, 경제 안보 뒷받침할 국정원 역량 강화를

출범하자마자 김용현 추가 기소한 특검… 검찰은 뭐했나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기대 부응한 SOC 추경편성, 내년 예산에도 30조원 이상 담아야

역대급 최악의 건설 물량 감소, 더 이상 버틸 여력이 없다

▲ 디지털타임스 = '민생 추경'은 마중물일뿐, 이젠 고통분담 구조개혁 나설 때다

김민석 후보, 의혹 해소 못하면 임명되더라도 국정에 짐될 것

▲ 매일경제 = 李 "이공계 인재 유치" 강조…확실한 보상으로 AI 천재 모아야

"지금 한국은 슈퍼 복합 넛크래커"라는 총리 후보자의 인식

서울 아파트 7년만의 최고 상승… 文 정부 '미친 집값' 재연 안돼

▲ 브릿지경제 = 2차 추경으로 성장률 제고 효과 높여야 한다

▲ 서울경제 = 빚내서 전 국민 민생지원금 지급… '재정 중독' 경계심 가져야

美 연준 스태그플레이션 대비 …시나리오별 대응책 서두를 때다

인사청문회 돌입, 총리·국정원장 후보자 국민에게 의혹 소명해야

▲ 이데일리 = 공시 경쟁 5년래 최저, 꿈 있는 청년들 기업으로 가야

정몽구 미래의학관 개관… 백신주권 확보 디딤돌 놨다

▲ 이투데이 = 받아도 걱정, 민생지원금·채무 탕감… '건전재정' 의지도 다져야

▲ 전자신문 = 의료현장 디지털전환 속도 붙이길

▲ 파이낸셜뉴스 = 세계 30위 안에 한곳도 못 낀 한국의 대학 수준

추경 신속 집행하되 재정 건전성 포기해선 안 돼

▲ 한국경제 = 韓 엔지니어 美 입국 줄줄이 거절 … 정부는 뒷짐만 지나

집값 잡으려 은행 자본까지 규제 … 실수요자 대출은 막지 말아야

1, 2차 추경도 버거운데, 계엄 피해 소상공인 보상까지…

▲ 경북신문 = 한·일 정상 '셔틀 외교' 재확인

▲ 경북일보 = 전국민 민생지원…물가·재정부담은 어쩌나

▲ 대경일보 = 민생지원 추경과 세수 부족 극복의 과제

노인학대 방지와 대책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