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국가예방접종 도입 선호 1순위는 '새 폐렴구균' 백신"

한국의학바이오기자協, 1천663명 대상 인식 조사 설문 공개

 고령층 국가예방접종에 새롭게 도입돼야 할 백신 1순위로 단백질 접합 형태로 만들어진 폐렴구균 백신이 꼽혔다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가 나왔다.

 현재 65세 이상 어르신은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을 무료로 맞을 수 있는데, 다른 종류인 단백접합백신(PCV) 대한 수요가 생긴 것이다.

 이어 '대상포진 백신'(46.2%), '코로나19 백신'(33.6%) 순이었다.

 고령층 국가예방접종 정책을 수립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백신 효능 및 안전성'(55.4%)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외 '치사율·입원율·중증화율'(52.5%), '전염성 및 유행성'(51.1%) 등도 주요 고려 사항이었다.

 다만 협회가 60세 이상 어르신만을 대상으로 고령층 국가예방접종에 대해 별도 설문한 결과는 전체 성인을 대상으로 한 결과와는 다소 상이했다.

 협회가 이달 초 충남 태안군 노인복지관의 60세 이상 이용자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추가해야 할 고령층 국가예방접종으로 '코로나19 백신'(56.7%)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겪으면서 해당 백신에 대한 수요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진 결과라고 협회는 풀이했다.

 이어 'PCV 폐렴구균 백신'(42.3%), '대상포진 백신'(18.1%) 순이었다.

 고령층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서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 역시 '전염성 및 유행성'(61.8%)을 가장 많이 선택해 전체 성인의 설문조사 결과와는 달랐다. 이어 '백신 효능 및 안전성'(41.5%), '치사율·입원율·중증화율'(16.9%), '공급 안전성'(6.7%), '가격'(4.1%) 등이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