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8일 조간)

▲ 경향신문 = '국회 권한 침해' 최상목, 마은혁 임명·명태균 특검 수용하라

'선관위 직무감찰' 위헌, 계엄군 선관위 투입도 위헌이란 뜻

탄핵심판 '마은혁 변수'… 절차적 정당성 더욱 중요해졌다

축구 팬 외면한 정몽규 회장 4연임, 신뢰회복이 우선이다

▲ 동아일보 = "마은혁 임명 보류는 위헌"… 변론 종결 尹 사건에 영향 없어야

우 의장이 제동 건 상법 개정안… 백지화가 경제 살리는 길

'특정 신문 폐간에 목숨 건' 金여사… 또 얼마나 더 놀라야 하나

▲ 서울신문 = 절차 시비 속 헌재 '마은혁 결정'… 공정성 논란 더 없어야

상법은 개정, 간첩법은 거부 野… '경제·중도' 정당 맞나

'한반도' 아닌 '북한' 비핵화로 바꾸기로 합의한 韓美

▲ 세계일보 = 마은혁 임명돼도 尹 탄핵심판 선고는 '8인 체제'가 합당

감사원이 자격 없다면, '부실' 선관위 감찰은 누가 하나

'상법' 상정 막은 禹 의장… 野는 기업 절규 외면 말아야

▲ 아시아투데이 = 최상목 대행, 마은혁 임명하면 역사의 죄인 될 것

명태균 특검은 거부하고 상법 개정은 취소해야

▲ 조선일보 = 그렇다면 이 '마피아 선관위'를 어떻게 하자는 건가

마은혁, 뒤늦은 탄핵 심리 참여 안 된다

차이 너무 큰 법원과 헌재의 '선고 시간표'

▲ 중앙일보 = 마은혁 임명 결정 존중해도 탄핵심판 참여는 무리수

'가족회사' 말까지 나온 선관위의 황당한 친인척 특혜 채용

▲ 한겨레 = 헌재 "최상목 국회 권한침해", 마은혁 즉각 임명해야

국민의힘, 명태균특검법 반대할수록 의혹만 커진다

환자들 1년 참고 기다렸는데, '의사 달래기'로만 가서야

▲ 한국일보 = 마은혁 조속 임명하고, 尹 탄핵심판엔 배제해야

"친인척 채용이 전통" 선관위, 감사 사각지대 없애야

최장 330일 소요… 반도체법, '슬로트랙' 태우겠단 건가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청년이 찾지 않는 산업은 미래가 없다

가계부채 총량규제 유지하되 지방·건설엔 유동성 더 공급해야

▲ 디지털타임스 = 무더기 `채용 비리` 선관위… 이런데도 감사 대상 아니라니

韓총리보다 馬후보자 먼저 챙긴 헌재, `편파` 비판 피할 수 없다

▲ 매일경제 = 지자체 제동에 동서울변전소 늑장 착공 … 전력난에 '님비' 안돼

EU엔 관세폭탄, '대만 방어' 질문엔 노코멘트한 트럼프

건설업 덮친 위기, 체질개선 기회로

▲ 브릿지경제 = 소상공인 금융 지원 실효성 높여야 한다

▲ 서울경제 = 巨野 반도체법 패스트트랙 추진, 주52시간 족쇄는 언제 풀 건가

헌재 "馬재판관 임명 의무" …韓총리 탄핵 여부도 속히 결론내야

미중러 밀착 속 한미일 "북핵 폐기" …국제정세 급변 대비하라

▲ 이데일리 = 트럼프발 세계질서 재편, 한미 '군함동맹'에 해법 있다

9년만의 합계출산율 반등… 추세로 굳힐 계기 삼아야

▲ 이투데이 = 고용시장 춘래불사춘…노동·규제 개혁 시급하다

▲ 전자신문 = MWC25, K-ICT 혁신저력 뽐내자

▲ 파이낸셜뉴스 = 장관급 첫 방미, 늦었지만 제대로 된 협상력 키우길

심각한 고용위기, 여야정 일자리창출 머리 맞대야

▲ 한국경제 = 유상증자 하려면 금감원 경영평가부터 받으라니

선관위 파렴치 비리에도 "위헌 감사"라며 재 뿌린 헌재

이재명 항소심 재판부의 석연치 않은 선고 일정

▲ 경북신문 = 공직선거법 위반 '6·3·3원칙'… 흐리멍덩?

▲ 경북일보 = 대구염색산단 잇따른 폐수 유출 경각심 가져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누가 우리 몸의 주인인가? 우리 몸의 주인은 누구일까? 이 질문은 지구상 생명체 중 누가 주인인가 하는 질문과 일맥상통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인간이 이 세상의 영장이고 주인이라고 주저 없이 대답할 것이라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세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세균이 과연 건강의 적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다. 많은 사람이 세균을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인간이 세균을 완전히 박멸할 수 있을까? 절대로 못 한다. 인간의 피부에만 약 1조 마리, 소화기관에는 무려 100조∼400조 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인간의 세포 수보다 많은 세균을 어떻게 박멸할 수 있겠는가? 인간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것이 산소다. 인간이 호흡하기에 적당한 산소의 농도, 즉 지구상의 산소 농도를 21%로 맞춰준 존재가 바로 세균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균은 온갖 생명체의 시조이자 지구상에서 수십억 년을 살아온 원주(原主) 생물이며, 지구의 주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까 세균은 우리의 적이 아니고 우리가 신세를 지고 있는 소중한 생명체다. 이외에도 세균은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비유하자면 세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