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활동, 인터넷 친사회행동과 긍정감정에 영향"

자아추구·상호작용·자기관리 포스팅 모두 유의미한 영향

  인스타그램 포스팅(글을 쓰고 사진을 올리는 행위)이 긍정 감정과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 언론정보연구에 실린 '인스타그램에서 포스팅이 긍정 감정과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서강대 나은영 교수·최근원 박사과정)에 따르면 인스타그램 내 자아추구적 포스팅, 상호작용 의례적 포스팅, 자기관리적 포스팅 모두 긍정 감정과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진은 인스타그램을 3개월 이상 지속해 이용했고 1회 이상 포스팅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설문했으며 수집된 300건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다중회귀분석과 리커트 척도를 활용한 분석 결과 자아추구적 포스팅, 상호작용 의례적 포스팅, 자기관리적 포스팅 모두 긍정 감정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추구적 포스팅이 가장 높은 영향력(결괏값 6.654)을 보였다.

 세 가지 포스팅 모두 인터넷 친사회행동에도 똑같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특히 상호작용 의례적 포스팅이 가장 강한 영향력(결괏값 6.403)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스타그램 포스팅을 할수록 친사회행동이 증가한다는 뜻이다.

 한편, 인스타그램을 통한 긍정 감정이 증가할수록 인터넷 친사회행동도 함께 증가함이 확인됐다.

 다만 자아추구적 포스팅의 경우 직접적이기보다 간접적인 매개가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관계를 유지하고 안부를 묻는 것(상호작용 의례적 포스팅)과 자신을 과시하거나 좋은 것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는 것(자기관리적 포스팅)보다 나를 솔직하게 표현하는 포스팅(자아추구적 포스팅)은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못하지만, 긍정 감정을 통해 간접 영향은 준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진은 "자아추구적 포스팅의 경우 자기성찰적이고 내면적 접근 방식이 더 강하기에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고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누가 우리 몸의 주인인가? 우리 몸의 주인은 누구일까? 이 질문은 지구상 생명체 중 누가 주인인가 하는 질문과 일맥상통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인간이 이 세상의 영장이고 주인이라고 주저 없이 대답할 것이라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세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세균이 과연 건강의 적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다. 많은 사람이 세균을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인간이 세균을 완전히 박멸할 수 있을까? 절대로 못 한다. 인간의 피부에만 약 1조 마리, 소화기관에는 무려 100조∼400조 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인간의 세포 수보다 많은 세균을 어떻게 박멸할 수 있겠는가? 인간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것이 산소다. 인간이 호흡하기에 적당한 산소의 농도, 즉 지구상의 산소 농도를 21%로 맞춰준 존재가 바로 세균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균은 온갖 생명체의 시조이자 지구상에서 수십억 년을 살아온 원주(原主) 생물이며, 지구의 주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까 세균은 우리의 적이 아니고 우리가 신세를 지고 있는 소중한 생명체다. 이외에도 세균은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비유하자면 세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