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관리앱 '파스타' 이용자들, 각설탕 546만개분 혈당 줄여

카카오헬스케어, 파스타 출시 1주년 맞아 인사이트랩 리포트 발간
식이섬유소 우선 섭취 등 거꾸로 식사법·식후 걷기 일상화

 인공지능(AI) 기반 모바일 혈당 관리 설루션 '파스타'(PASTA) 이용자들은 혈당 조절과 체중 감소를 위해 식이섬유소를 단백질, 탄수화물보다 많이 먹는 '거꾸로 식사법'과 식사 후 걷기를 일상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줄인 혈당은 각설탕 546만개에 달했다.

 이들이 자주 한 운동은 식후 걷기, 걷기, 자전거 타기(실내외), 러닝, 웨이트 트레이닝 순으로 나타났다.

 식사를 마친 후 바로 걷는 것만으로도 급격한 혈당 상승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이 알려지며 식후  걷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식후 혈당을 가장 높인 음식은 김밥(66.5㎎/dL), 삶은 고구마(66.2㎎/dL), 짜장면(65.8㎎/dL), 제육덮밥(65.7㎎/dL) 순이었다.

 파스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중에선 영양소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 채식주의 식단, 혈당과 식곤증의 관계 등이 이용자로부터 가장 많은 공감을 받았다.

 파스타가 만든 변화와 관련해 이미 있는 수치들도 공개했다.

 실시간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연속혈당측정기(CGM)를 1회 이상 착용하고 파스타를 연결한 이용자 11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용자들이 파스타 이용 후 줄인 혈당을 모두 합치면 5.5만㎎/dL로 각설탕 546만 개에 달했다.

 파스타가 아낀 채혈침은 2억 개 이상으로 파악됐다.

 이용자들이 식사, 운동, 수면 등 파스타 챌린지에 참여한 시간은 74만 시간을 넘었고, 운동으로 태운 에너지는 풍력발전기 6대가 1년 동안 생산하는 양과 맞먹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이용자들이 음식, 운동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참고함으로써 건강한 생활 습관을 만들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번 리포트 결과를 파스타 앱에 반영했다.

 파스타 앱에서 'AI 푸드샷'으로 음식을 촬영하면 해당 음식의 섭취 순서와 섭취 시 건강 주의사항, 이용자와 동일한 연령 및 성별의 평균 혈당 상승 폭을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헬스케어 관계자는 "당뇨, 비만, 고혈압 등 대사질환은 반드시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한 만큼 파스타에서 유익한 정보와 재미있는 챌린지를 제공해 이용자들이 즐겁게 건강 관리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파스타 인사이트랩 리포트'를 매년 발간해 이용자들이 건강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 생활 습관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