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관리앱 '파스타' 이용자들, 각설탕 546만개분 혈당 줄여

카카오헬스케어, 파스타 출시 1주년 맞아 인사이트랩 리포트 발간
식이섬유소 우선 섭취 등 거꾸로 식사법·식후 걷기 일상화

 인공지능(AI) 기반 모바일 혈당 관리 설루션 '파스타'(PASTA) 이용자들은 혈당 조절과 체중 감소를 위해 식이섬유소를 단백질, 탄수화물보다 많이 먹는 '거꾸로 식사법'과 식사 후 걷기를 일상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줄인 혈당은 각설탕 546만개에 달했다.

 이들이 자주 한 운동은 식후 걷기, 걷기, 자전거 타기(실내외), 러닝, 웨이트 트레이닝 순으로 나타났다.

 식사를 마친 후 바로 걷는 것만으로도 급격한 혈당 상승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이 알려지며 식후  걷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식후 혈당을 가장 높인 음식은 김밥(66.5㎎/dL), 삶은 고구마(66.2㎎/dL), 짜장면(65.8㎎/dL), 제육덮밥(65.7㎎/dL) 순이었다.

 파스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중에선 영양소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 채식주의 식단, 혈당과 식곤증의 관계 등이 이용자로부터 가장 많은 공감을 받았다.

 파스타가 만든 변화와 관련해 이미 있는 수치들도 공개했다.

 실시간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연속혈당측정기(CGM)를 1회 이상 착용하고 파스타를 연결한 이용자 11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용자들이 파스타 이용 후 줄인 혈당을 모두 합치면 5.5만㎎/dL로 각설탕 546만 개에 달했다.

 파스타가 아낀 채혈침은 2억 개 이상으로 파악됐다.

 이용자들이 식사, 운동, 수면 등 파스타 챌린지에 참여한 시간은 74만 시간을 넘었고, 운동으로 태운 에너지는 풍력발전기 6대가 1년 동안 생산하는 양과 맞먹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이용자들이 음식, 운동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참고함으로써 건강한 생활 습관을 만들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번 리포트 결과를 파스타 앱에 반영했다.

 파스타 앱에서 'AI 푸드샷'으로 음식을 촬영하면 해당 음식의 섭취 순서와 섭취 시 건강 주의사항, 이용자와 동일한 연령 및 성별의 평균 혈당 상승 폭을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헬스케어 관계자는 "당뇨, 비만, 고혈압 등 대사질환은 반드시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한 만큼 파스타에서 유익한 정보와 재미있는 챌린지를 제공해 이용자들이 즐겁게 건강 관리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파스타 인사이트랩 리포트'를 매년 발간해 이용자들이 건강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 생활 습관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