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4일 조간)

▲ 경향신문 = 국정원의 도 넘는 민간인 사찰, 용납 안 된다

'한·미 동맹 맹신'에서 깨어날 필요 일깨운 미·우 회담

의대 신입생에 휴학 강요… 도 넘은 집단 이기주의 엄단해야

▲ 동아일보 = '우크라 굴욕'에 유럽 자강론… '美 한발 뺀 한반도' 대비해야

갈수록 험해지는 이념 갈등… 거기에 올라탄 정치

다시 자정 나선 선관위… 또 흉내만 내선 외부의 '철퇴' 맞을 것

▲ 서울신문 = '관세폭탄' 맞기도 전 쓰러지는 韓 반도체… 野 보고 있나

가상자산 전략물자 추진 美… 손놓고 있지 말고 대비를

국제질서 재편, 유럽 방위비 증액… K방산 역할 준비해야

▲ 세계일보 = 野, 국정협의회 보이콧… 임시국회 '빈손' 돼선 안 돼

고꾸라진 반도체 수출… 규제 완화 등 총력 대응 나서야

시·군·구 20% 출생아 100명 이하, 지방 소멸 두고만 볼 건가

▲ 아시아투데이 = 헌재, 3·1절 국민의 뜻대로 윤 대통령 탄핵 각하하라

박수영 의원은 단식투쟁… 국힘 지도부 뭐하나

불법 얼룩진 윤 대통령 구속, 취소하라

▲ 조선일보 = 트럼프 對韓 메시지 나쁘지 않으나 최악에 대비를

"AI로 병력 대체", 이번엔 男心 겨냥 票퓰리즘인가

선관위 간부가 정치권 소통용 '세컨드폰', 공정성 어떻게 믿겠나

▲ 중앙일보 = 국민 인내심 한계 … 내년 의대 정원 동결 후 문제 풀어야

▲ 한겨레 = "헌법재판관 처단" 섬뜩한 선동, 내란 끝나지 않았다

'마은혁 임명' 미적대는 최상목, 헌법 위에 군림하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위한 상법 개정 늦출 수 없다

▲ 한국일보 = 민주당, 마은혁 임명이 국정협의회와 맞바꿀 사안인가

"헌재 쳐부수고, 재판관 처단" 법치 파괴 조장이다

'막가파 외교' 트럼프, 세계 리더 자격 있나

▲ 글로벌이코노믹 = 독일 메르츠 정부의 경제 개혁 과제

저출생 대책, 기업 확산 시급하다

▲ 대한경제 = 고준위방폐물법 계기로 '재처리' 정책 방향도 분명해져야

건설산업에도 봄이 찾아오길 고대한다

▲ 디지털타임스 = "믿을 건 기업뿐"… '경영 자유' 높여야 지속 발전 가능하다

李지지층 과반 상속세 인하 찬성… 야, 개편 주저할 이유없다

▲ 매일경제 = 마은혁 갈등에 국정협의회 파행, 경제·민생 내팽개치나

'2036 전북 올림픽' 유치에 국가 차원 만반의 지원을

심상찮은 집값, 정교한 대책으로 불씨 잡아야

▲ 브릿지경제 = 반도체 등 수출 '풍전등화'인데 뭣들 하고 있나

▲ 서울경제 = 수출 4.8% 감소, 기술력 향상·시장 다변화 전방위로 지원해야

이번엔 "근소세 개편" …표심 의식 선거용 손질은 세제 개혁 아니다

동맹 해체 기로 속 돈·힘의 국제질서…자강이 안보·국익 지킨다

▲ 이데일리 = 불신 논란 자초한 선관위, 근본적 개혁 미룰 수 없다

미·유럽 대서양 동맹에 균열, 한미 동맹은 굳건한가

▲ 이투데이 = 車 부품 '관세전쟁' 쇼크…기업 붙잡을 대책 있나

▲ 전자신문 = 'N2SF' 新데이터경제 여는 열쇠로

▲ 파이낸셜뉴스 = 최고 상속세 낼 955명은 '초부자' 앞서 기업인

국론분열의 끝은 망국의 길밖에 없다

▲ 한국경제 = 법관이 수장 겸직하는 선관위, 62년 낡은 지배구조 깨야

아무리 AI시대라도 군 병력은 함부로 줄일 일 아니다

대미 통상 지렛대 된 K조선 … 국가 전략 산업으로 키우자

▲ 경북신문 = 중앙선관위는 성역인가… 신뢰 잃은 헌재

▲ 경북일보 = '38세 고령 헬기'로 산불 대응 가능한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 속 의사·한의사 '영역 다툼'도 격화…"공개 토론하자"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 사태 속에서 의사와 한의사 간 영역 다툼도 심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의사들이 의료 공백을 악용해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한방 치료의 효과 등을 주제로 대국민 공개 토론회를 하자고 한의계에 제안했다. 박상호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장은 "한의계는 정부의 일방적 의대 증원 사태로 촉발된 의료 공백을 악의적으로 이용해 필수·공공의료 분야에 한의사를 활용하라는 등 얄팍한 주장을 거듭하고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경찰이 부족하다고 경비원에게 수갑을 쥐어 줄 건가. 판·검사가 부족하다고 사법고시 강사가 재판을 보게 할 건가"라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의과 진단·검사기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의사 면허나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자격증이라도 따시라"며 "면허는 종이쪼가리가 아니라 생명에 대한 책임이다. 의과 진료 따라잡기와 어설픈 의학 흉내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재만 부위원장은 ▲ 한의사의 방사선·초음파 기기 사용 ▲ 리도카인 등 의약품의 무분별한 사용 ▲ 한방난임지원사업 ▲ 한의사의 치매 진단서·소견서 발급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건강을


메디칼산업

더보기
검찰, 3개 중견 제약사 수사…'전공의 리베이트' 관련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 담당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 3곳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제약사는 2021년 리베이트 제공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도 의료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아울러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도 각각 의료법 위반·배임수재 또는 약사법 위반·배임중재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뇌물을 준 경우에 적용되는 배임중재 혐의 외에도 약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사문서위조,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서울 한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노원경찰서는 2023년 7월 이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으나 서울경찰청의 재조사 지휘를 받고 다시 조사에 착수했고,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