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 1.5℃ 이상 땐 작물다양성 감소·세계 식량위기 우려"

핀란드 연구팀 "세계 식량 생산량의 3분의 1 위험에 처할 수도"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기온 상승 폭이 1.5℃를 넘어 계속될 경우 세계 주요 식량 작물의 다양성이 크게 감소해 식량 안보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핀란드 알토대 새러 하이코넨 박사팀은 5일 과학 저널 네이처 푸드(Nature Food)에서 미래의 기온, 강수량, 건조도 변화 등이 주요 식량 작물 30종의 재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온난화가 계속되면 작물 다양성이 크게 감소, 세계 식량 생산량의 3분의 1이 위험에 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하이코넨 박사는 "작물 다양성 상실은 특정 지역에서 재배할 수 있는 식량 작물의 범위가 크게 줄어들 수 있음을 뜻한다"며 "이는 식량 안보를 약화시키고 적절한 열량과 단백질을 얻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저위도 지역이 중위도나 고위도 지역보다 타격이 훨씬 클 것으로 예측됐다.

 기온 상승으로 저위도 지역 기후가 식량 작물 재배에 부적합해지고 작물 다양성이 크게 감소, 작물 생산량의 최대 절반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이코넨 박사는 "특히 저소득 지역 식량 안보에 핵심인 참마(yam) 같은 열대 뿌리 작물과 곡물 및 콩류가 특히 취약하다"며 "온난화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경우 기온 상승이 3℃를 넘으면 현재 생산량의 거의 4분의 3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위도 및 고위도 지역은 특정 작물의 재배 지역이 변하더라도 작물 재배가 가능한 농경지는 전반적으로 유지되고, 이들 지역에서 재배 가능한 작물의 다양성도 오히려 증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됐다.

 논문 교신저자인 마티 쿰무 교수는 그러나 기후 조건이 유리하더라도 다른 방해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며 온난화로 인한 새로운 해충과 기상이변 등 이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요인들이 이들 지역 농업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온난화는 각 지역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의 결과에 적응하고 대응책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이코넨 박사는 "미래의 식량 시스템을 확보하려면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동시에 그 영향에도 적응해야 한다"면서 "가장 큰 변화는 적도 지역에서 일어나겠지만 그 영향은 세계화된 식량 시스템을 통해 모두가 받게 되기 때문에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출처 : Nature Food, Sara Heikonen et al., 'Climate change threatens crop diversity at low latitudes', http://dx.doi.org/10.1038/s43016-025-01135-w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