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중부권 11개 시에 내려진 오존주의보가 1일 오후 8시 해제됐다고 환경부 한국환경공단이 전했다. 해당 지역은 수원·안산·안양·부천·시흥·광명·군포·의왕·과천·화성·오산이다. 해제 지역의 시간 평균 오존 농도는 오후 8시 현재 0.1078ppm(100만분의 1)이다. 남부권 5개 시의 주의보는 유지됐다. 1시간 평균 공기 중 오존(O₃) 농도가 0.12ppm 이상이면 오존주의보가, 0.30ppm 이상이면 오존경보가, 0.50ppm 이상이면 오존중대경보가 각각 발령된다.
헬기와 조종훈련기 등 3㎞ 이하 낮은 고도를 운항하는 항공기에 특화된 날씨 정보가 제공된다. 기상청은 '저고도 항공 날씨'를 1일부터 홈페이지(global.amo.go.kr)에서 제공한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특히 국립중앙의료원과 협력, 닥터헬기 배치 거점병원 8곳과 주요 응급환자 인계지점 165곳에 대해서는 상세 기상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환자를 헬기로 이송할 수 있을지 신속히 판단하도록 돕기 위해서다. 산불이 발생하면 반경 20∼60㎞ 지역의 상세 기상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해 표출하는 기능도 마련했다. 저고도 항공기는 가시거리와 구름의 높이와 양 등 기상에 고고도 항공기보다 크게 영향받는다. 조종사가 눈으로 상황을 확인하며 비행하는 '시계비행'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번에 기상청은 항로 날씨 상황을 4개 색으로 표시하는 신호등 시스템을 도입했다. 또 항공기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면 항로상 바람·기온·구름·난류 정보를 고도별로 알려주는 '내비게이터' 서비스도 구축했다. 기상청은 "시계비행을 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데 핵심적인 가시거리와 구름 높이 제공 지점을 100여곳에서 370여곳으로 대폭 늘렸다"면서 "관측 정보가 부족한 산악지역 자료를
연일 이어지는 폭염에 올해 들어 온열질환자 수가 2천800명에 육박할 정도로 불어났다. 3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전국 510여곳 응급실을 찾은 열탈진, 열사병 등 온열질환자는 126명(잠정치)으로, 이 중 인천 서구에서 1명이 사망했다. 질병청이 올해 5월 15일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가동한 이래 전날까지 누적 온열질환자는 2천768명, 사망자는 13명에 달한다. 최근 무더위의 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으면서 지난 22일부터 8일 연속으로 매일 환자가 100명 이상 나오고 있다. 지난해 감시 시작일인 5월 20일부터의 수치만 보면 올해 온열질환자는 2천752명으로 작년 동기 1천59명과 비교해 약 2.6배 규모다. 올해 사망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 4명 대비 3배 이상이 됐다.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통상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제때 조치하지 않으면 의식 저하가 나타나면서 자칫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 열탈진과 열사병이 대표적이다. 이 중 열사병은 우리 몸의 체온조절 중추가 외부의 열 스트레스에 견디지 못해 기능을 잃고, 땀 흘리는 기능마저 망가지면서 체온이 지속해서 상승해 발생한다. 가장 치사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