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도 깜짝 놀랄 만큼 눈이 쏟아졌다. 30일 기상청이 지난 26일 오후 5시 내놓은 단기예보를 보면 당시 기상청은 26일 밤부터 28일까지 서울에 '최대 10㎝ 이상' 적설을 예상했다. 실제 26일 밤에서 28일 사이 서울에 제일 눈이 많이 쌓였을 때 적설은 28일 오전 8시 28.6㎝(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 기준)였다. ◇ '기록적' 예보했는데 예보 뛰어넘는 대설 이번 일을 기상청 '오보'로 치부하기만은 어렵다. 이번 폭설 전 서울의 11월 중 최고 적설은 1972년 11월 28일 12.4㎝였다. '하루 동안 내려 쌓인 눈의 양'을 말하는 일신적설 기준으로는 최고치가 1966년 11월 20일의 9.5㎝였다. 최대 10㎝ 이상 눈이 쌓인다는 예보도 '이례적으로 많은 눈'이 온다는 의미였는데 이조차 뛰어넘는 말 그대로 '대설'이 내렸다. 28.6㎝ 적설은 11월뿐 아니라 겨울을 통틀어 서울에서 근대적인 기상관측을 시작한 1907년 10월 이후 3번째로 많은 눈이 쌓인 것이었다.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 전체에 기록적인 대설이 내렸다. 경기 수원의 경우 28일 한때 43㎝의 눈이 쌓였는데 이는 1964년 1월 수원에서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일최심 적설 신기록이
유난히도 길고도 무더웠던 올해 여름에 이어 짧은 가을을 거쳐 최근 기록적인 폭설이 내리면서 12월 겨울의 문턱에 성큼 다가섰다. 예전에는 선선한 바람이 불던 9월 중순까지도 올해는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여름이 길어졌고, 그만큼 겨울은 짧아졌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겨울옷은 비싼데 사봐야 얼마 입지도 못해 아깝다", "여름 모기가 11월까지도 기승이다" 등의 의견도 적지 않다. 실제로 겨울은 짧아지고 여름은 길어졌을까? 만약 그렇다면 사계절의 길이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기상청 데이터를 통해 살펴봤다. ◇ 100년 전보다 겨울 22일↓·여름 29일↑…기온도 상승 우리나라는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해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편이다. 보통 계절은 봄(3∼5월), 여름(6∼8월), 가을(9∼11월), 겨울(12∼2월)로 3개월 단위로 구분한다. 다만 기상학적 계절 구분은 이와는 다르다. 9일 이동평균을 사용해 봄은 일평균 기온이 5도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내려가지 않는 첫날을 시작으로 본다. 여름은 일평균 기온이 20도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내려가지 않는 첫날, 가을은 일평균 기온이 20도 미만으로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는 첫날이다. 마찬
경기도는 다음 달부터 내년 3월까지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도는 이 기간 초미세먼지(PM2.5) 평균 농도 24㎍/㎥를 목표로 도민건강보호, 산업, 수송, 공공, 정보제공 및 협력 강화 등 5대 분야 20개 이행과제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을 추진한다. 도민건강보호 분야의 경우 지하 역사나 대중교통 관련 시설 등 다중 이용시설의 환기 정화설비 적정 가동 상태 등에 대한 특별 점검에 나선다. 영농 폐기물 수거, 불법 소각 차단, 도로 재비산먼지 청소, 공사장 먼지 억제 등 생활 주변 미세먼지 발생 저감 활동도 강화한다. 산업 분야는 민원이 자주 발생하는 중점관리 사업장 2천800여곳을 대상으로 특별 점검을 실시하고, 산업단지에는 미세먼지 측정 스캐닝 라이다·드론 등 첨단 감시장비도 투입할 방침이다. 수송 분야로는 계절관리제 기간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 제한 조치에 따라 위반 차량 단속을 실시하고 터미널, 차고지, 물류센터 등 차량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공회전 및 배출가스 특별 단속도 실시한다. 이밖에 공공 분야에서는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을 정기 점검하고, 정보제공 및 협력강화 분야에서는 민간 실천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