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전체기사 보기

뜨거워진 바다, 해파리 떼가 몰려온다

한여름이면 시원한 파도를 즐기려는 인파로 가득한 부산 바닷가. 그런데 최근 이 풍경이 달라지고 있다. 즐거움으로 가득해야 할 해변에 해파리 떼가 출몰하면서 피서객들의 표정엔 긴장감이 가득하다. 기후 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해양 환경 변화로 해파리 개체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무더위로 예년보다 열흘가량 앞당겨 오는 21일 정식 개장하는 부산의 해수욕장은 물론 어획 활동으로 생계를 꾸리는 어업인들 사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부산 앞바다 급습에 어업인·피서객 '한숨' "그물로 광어 등을 잡는 선장들이 생선보다 해파리가 더 많이 잡힌다며 하소연합니다." 송정어촌계 간사 박병수 선장은 수년 전부터 부산 앞바다를 잠식한 해파리 떼의 심각성을 호소했다. 박 선장은 "해파리가 걸려 그물이 찢어지면서 어획량이 크게 줄었다고 한다"며 "어업인들뿐 아니라 물놀이 구역까지 이동하는 해파리가 늘어나면서 피서객의 안전도 위협한다"고 7일 말했다. 이어 "작년에 해파리를 포획할 때 유난히 양이 많았는데 올해 더 더운 날씨로 해파리가 많아질까 걱정스럽다"고 덧붙였다. 초여름 날씨에 접어들면서 바다에는 벌써 해파리들이 넘실거리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온실가스 못 줄이면…기후재난 피해 젊은 세대에게 돌아간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온난화로 기후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그로 인한 폭염과 가뭄, 태풍 등 극한 기후 재난의 피해가 젊은 세대에게 더 크게 돌아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벨기에 자유대학 빔 티에리 교수팀은 9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2100년까지 기온이 1.5℃와 2.5℃, 3.5℃ 상승하는 세 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평생 극한 기후 현상을 경험할 위험을 세대별로 평가한 결과 젊은 세대일수록 기후 재난 직면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티에리 교수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고 산업화 이전 대비 1.5℃ 상승까지 0.2℃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 연구는 세계 지도자들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젊은이들의 기후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온난화로 인해 폭염과 가뭄, 태풍 등 극한 기후에 대한 노출이 계속 늘 것으로 예상되고 젊은 세대가 나이 든 세대보다 이런 재난을 더 자주 경험할 것으로 보이지만 온난화 시나리오에 따라, 그리고 태어난 연도나 사회경제적 취약성 등에 따라 그 위험이 얼마나 다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