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면역항암치료 반응성 예측 혈소판 역할 규명

전남대 연구팀 "환자 맞춤형 치료 전력 수립에 기여"

 폐암 환자의 면역항암치료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혈소판 역할이 전남대 의과대학 연구팀과 화순전남대병원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다.

 6일 전남대에 따르면 의과대학 조재호 교수 연구팀과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오인재 교수 연구팀은 혈소판과 면역세포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폐암 환자에서 나타나는 전신 면역억제 현상을 설명하고 면역항암치료 반응성 예측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기존 연구로 순환 면역세포를 가진 환자군이 면역항암치료에 더 잘 반응한다는 사실은 밝혀졌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혈소판이 순환 면역세포와 물리적으로 결합해 주요 반응의 원천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최초로 규명했다.

 또 단순히 종양 미세환경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암 전이·종양 성장·염증 반응 등 다양한 암 관련 조건에서 발생하는 전신적 면역억제를 설명하는 새로운 현상임도 밝혀냈다.

 연구팀 관계자는 "종양 주변 국소적 면역억제와는 다른 전신적 면역억제 메커니즘을 제시하며 폐암 환자의 독특한 면역 환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며 "정확한 예측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에 지난달 26일 게재됐다.

전남대 의과대학·화순전남대병원 연구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이전 칼럼에 언급한 대로 씨앗과 채소, 과일 등의 신선 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채로 먹는 것이 대부분의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식생활이다. 일례로 채소가 몸에 좋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왜 그럴까? 채소는 비타민 등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유질이 많아 대장운동을 촉진한다. 이게 결국 장내세균이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환경을 위해 되도록 첨가물이 적고 원래 식자재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유럽 사람들이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장내세균을 조사했다. 현대적 기법으로 장내세균 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사람의 장내세균 분포가 서너 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장내세균의 패턴에 따른 체질, 수명, 또는 특정 질병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속해 연구하고 있다. 아직 뚜렷한 결과는 없지만 그래도 분명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 거라고 기대한다. 인간을 네 부류로 나눈다는 관념에는 굉장히 흥미로운 구석이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런 전통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혈액형을 A, B, O, AB형 네 가지로 나누고, 한의학에서도 체질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 가지로 나눈다. 또 서양의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