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감염병관리기관 43% 감소…경북권 의료자원 가장 취약"

코로나19 유행 안정화에 따라 감염병관리기관 수도 줄어
수도권 집중 심한 가운데 경북권 전문의·장비 가장 적어

 코로나19 이후 새 감염병 유행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나라 감염병관리기관은 최근 약 1년 사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의료자원과 마찬가지로 감염병 분야 역시 수도권에 자원이 몰려 있고, 경북권이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꼽혔다.

 질병관리청과 국립중앙의료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전국 감염병관리기관은 총 159곳이다.

 2023년 3분기(277곳)보다 42.6%나 줄었다.

 감염병관리기관은 코로나19 유행이 점차 사그라짐에 따라 2022년 1분기 411곳에서 같은 해 3분기 283곳으로 줄었다. 2023년에는 1분기 282곳, 3분기 277곳으로 계속해서 감소했다.

2022∼2024년 감염병 관리기관 지정 현황

 지역별로 봤을 때 경북권의 감염병 관련 의료자원이 가장 부족했다.

  감염병관리기관 내 감염내과 전문의 수는 총 139명으로, 권역별로 봤을 때 수도권에 절반 이상인 79명(56.8%)이 몰렸고, 경북권에는 단 4명(2.9%)만 있었다.

 그나마 4명이 모두 대구에 있고 경북도에는 1명도 없었다.

 호흡기내과 전문의(총 218명)도 수도권(102명)이 최다, 경북권(8명)이 최소였고, 소아청소년과 감염분과 전문의(총 28명) 수도권(15명)이 1위, 경북권(1명)이 꼴찌였다.

 감염병관리기관 내 중환자 치료를 위한 시설도 경북권에 유독 부족했다.

 전국 인공호흡기는 총 4천156대로, 경북권에는 가장 적은 176대(4.2%)만 있었다.

 인공심폐장치(에크모·ECMO)도 총 236대 중 경북권에는 9대(3.8%)만 있었다.

 질병청과 국립중앙의료원 연구진은 "감염병 유행 상황을 대비해 감염병관리기관의 의료 대응 역량 파악이 중요하다"며 "감염병 위기 시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면 지역 간 자원 분포의 차이에 따른 의료 공백을 해소하고, 급증하는 의료 수요에 대비해 지역 내 감염병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여름 앞두고 자외선차단제 경쟁…투명 제형부터 복합기능까지
여름을 앞두고 화장품 업계의 자외선차단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물처럼 흐르는 액체 형태부터 주름 개선과 미백 등의 복합 기능까지 갖춘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 4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자외선차단제는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 데 발림성이나 피부가 하얗게 뜨는 백탁현상, 기능성 등을 따지는 경향이 강한 카테고리로 매년 여름 신제품 경쟁이 치열 하다. 이에 화장품 업체들은 연구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화장품 제조업자 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192820]는 최근 5년간 특허 출원 건수 중 10% 이상인 60여건을 자외선 차단 기술에 할애했다. 올해 초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연구혁신(R&I)센터 내 자외선 차단 제형 연구를 담당하는 선케어(SC)랩을 독립시키고 조직도 확대했다. 코스맥스의 대표적인 자외선 차단 제형으로는 투명한 '캡슐선'이 있다. 가벼운 사용감과 백탁현상이 덜한 제형을 선호하는 젊은 세대의 특성을 조준한 것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코스맥스는 지난해 말 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자외선 차단 소재인 '스파이크 야누스 나노입자'도 개발했다. 코스맥스 관계자는 "자외선차단제 수요가 국내외에서 빠르게 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