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6대 암 검진받아…위암 수검률 77% 최고

국립암센터 수검행태조사…수검률 70.2%로 전년比 3.8%P↑
수검 대상자인데 검진받지 않은 이유 1위 "건강하다고 생각해서"

 지난해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정부 권고에 따라 암 검진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암 검진 수검률이 77.4%로 가장 높았다.

 국립암센터는 암 진단을 받지 않은 남녀 표본 4천5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대 암(위암·간암·대장암·유방암·자궁경부암·폐암) 검진 수검률 및 행태를 조사한 결과를 12일 공개했다.

 암 검진 수검행태조사는 6대 암 검진의 수검률 및 수검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2004년부터 매년 1회 설문을 통해 실시된다.

 암 검진 권고안 이행 수검률은 국가 암검진 프로그램에서 권고하는 검진 주기에 따라 6대 암 검진을 받았는지를 조사한 항목이다.

 암 종류별 수검률은 위암이 77.4%로 가장 높았고 대장암(74.4%), 유방암(70.6%), 자궁경부암(62.0%) 순이었다.

 암센터는 우리 국민이 암 검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조기에 암을 발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생존율도 크게 향상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8∼2022년 진단받은 암 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암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은 72.9%로, 2001∼2005년 54.2%와 비교하면 18.7%포인트 늘었다.

 암 검진 대상자 중 암 검진을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 이유를 별도 조사한 결과 '건강하다고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4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17.4%), '검사 과정이 힘들어서'(16.7%)도 주요 이유로 꼽혔다.

 암은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으므로 조기에 암을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게 좋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이 결과는 국민들의 암 검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이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사람이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다만 일부가 건강하다고 생각해 암 검진을 받지 않는 것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