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6대 암 검진받아…위암 수검률 77% 최고

국립암센터 수검행태조사…수검률 70.2%로 전년比 3.8%P↑
수검 대상자인데 검진받지 않은 이유 1위 "건강하다고 생각해서"

 지난해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정부 권고에 따라 암 검진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암 검진 수검률이 77.4%로 가장 높았다.

 국립암센터는 암 진단을 받지 않은 남녀 표본 4천5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대 암(위암·간암·대장암·유방암·자궁경부암·폐암) 검진 수검률 및 행태를 조사한 결과를 12일 공개했다.

 암 검진 수검행태조사는 6대 암 검진의 수검률 및 수검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2004년부터 매년 1회 설문을 통해 실시된다.

 암 검진 권고안 이행 수검률은 국가 암검진 프로그램에서 권고하는 검진 주기에 따라 6대 암 검진을 받았는지를 조사한 항목이다.

 암 종류별 수검률은 위암이 77.4%로 가장 높았고 대장암(74.4%), 유방암(70.6%), 자궁경부암(62.0%) 순이었다.

 암센터는 우리 국민이 암 검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조기에 암을 발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생존율도 크게 향상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8∼2022년 진단받은 암 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암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은 72.9%로, 2001∼2005년 54.2%와 비교하면 18.7%포인트 늘었다.

 암 검진 대상자 중 암 검진을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 이유를 별도 조사한 결과 '건강하다고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4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17.4%), '검사 과정이 힘들어서'(16.7%)도 주요 이유로 꼽혔다.

 암은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으므로 조기에 암을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게 좋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이 결과는 국민들의 암 검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이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사람이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다만 일부가 건강하다고 생각해 암 검진을 받지 않는 것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