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치매환자, 비장애인의 7.3배…우울·불안장애 2배 이상

장애인 건강보건통계…건강검진 수검률 63.5%, 비장애인보다 12%p↓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에 취약…1인당 진료비, 비장애인의 3.8배

  장애인 중 치매 환자 비율이 비장애인보다 7.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을 받은 장애인의 비율은 비장애인보다 12.0%포인트 낮았고, 장애 유형별로는 정신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이 가장 낮았다.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은 최근 국내 등록장애인 약 265만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의료이용, 사망원인 등 86개 항목을 조사한 '장애인 건강보건통계'를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정신과 질환 중 치매에서 장애인 환자의 비율은 13.8%로 비장애인(1.9%)보다 7.3배 높았다.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장애인은 12.8%, 불안장애는 13.9%로 비장애인(우울 4.9%, 불안 6.2%)보다 각각 2.6배, 2.2배 높았다.

2022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정신과적 질환 현황

  건강검진을 받는 비율도 장애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2022년 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은 63.5%로 비장애인(75.5%)보다 12.0%포인트 낮았다. 중증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은 52.0%로 특히 낮았다.

 장애인의 암 검진 수검률은 45.5%, 구강검진은 17.9%로, 비장애인(암 검진 57.7%·구강검진 26.7%)에 비해 각각 12.2%포인트, 8.8%포인트 낮았다.

 장애인은 건강검진 결과에서도 비장애인보다 유병 비율이 높았다.

 2022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판정 결과 '정상'이 나온 비율은 18.3%였다. '질환 의심'은 31.3%, '유질환자'는 50.4%였다.

 정상 판정 비율은 비장애인(41.6%)보다 2.3배 낮았고, 유질환자 비율은 비장애인(25.4%)보다 두배가량 높았다.

 구체적으로는 '위암 의심'과 '위암' 비율이 각각 2배 높았다.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만성질환에 더욱 취약했다.

 장애인 중 고혈압 환자는 50.5%, 당뇨는 29.2%로, 비장애인(고혈압 20.4%·당뇨 11.6%)보다 각각 2.5배 많았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기관 입원 일수는 20.6일로 비장애인(2.1일) 대비 9.8배였다. 외래일수는 35.0일로 비장애인(17.8일)의 2배였다.

장애인 건겅검진종별 수검률

 등록장애인은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5.2%인데 반해 이들이 쓴 총진료비는 약 18조4천549억원으로 국민 전체 진료비(116조1천930원)의 15.9%를 차지했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약 718만9천원으로, 비장애인(190만3천원)에 비해 3.8배 많았다.

 특히 고령 장애인의 진료비가 많았는데, 장애가 있는 노인의 연간 총진료비는 약 11조2천억원으로 장애인 연간 총진료비의 60.5%를 차지했다.

 장애인의 조사망률은 3천885.4명으로, 전체인구(727.6명) 대비 5.3배 높았다. 조사망률은 인구 1천명당 새로 사망한 사람의 비율이다.

 조사망율이 가장 높은 장애 유형은 호흡기 장애(1만1천612.2명), 신장(8천824.9명), 뇌병변(8천544.6명) 순이었다.

 이번 장애인 건강보건통계는 국립재활원이 13일 국립재활원 나래관에서 개최하는 '2025년 장애인건강보건통계 콘퍼런스'에서 발표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