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치매환자, 비장애인의 7.3배…우울·불안장애 2배 이상

장애인 건강보건통계…건강검진 수검률 63.5%, 비장애인보다 12%p↓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에 취약…1인당 진료비, 비장애인의 3.8배

  장애인 중 치매 환자 비율이 비장애인보다 7.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을 받은 장애인의 비율은 비장애인보다 12.0%포인트 낮았고, 장애 유형별로는 정신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이 가장 낮았다.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은 최근 국내 등록장애인 약 265만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의료이용, 사망원인 등 86개 항목을 조사한 '장애인 건강보건통계'를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정신과 질환 중 치매에서 장애인 환자의 비율은 13.8%로 비장애인(1.9%)보다 7.3배 높았다.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장애인은 12.8%, 불안장애는 13.9%로 비장애인(우울 4.9%, 불안 6.2%)보다 각각 2.6배, 2.2배 높았다.

2022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정신과적 질환 현황

  건강검진을 받는 비율도 장애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2022년 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은 63.5%로 비장애인(75.5%)보다 12.0%포인트 낮았다. 중증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은 52.0%로 특히 낮았다.

 장애인의 암 검진 수검률은 45.5%, 구강검진은 17.9%로, 비장애인(암 검진 57.7%·구강검진 26.7%)에 비해 각각 12.2%포인트, 8.8%포인트 낮았다.

 장애인은 건강검진 결과에서도 비장애인보다 유병 비율이 높았다.

 2022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판정 결과 '정상'이 나온 비율은 18.3%였다. '질환 의심'은 31.3%, '유질환자'는 50.4%였다.

 정상 판정 비율은 비장애인(41.6%)보다 2.3배 낮았고, 유질환자 비율은 비장애인(25.4%)보다 두배가량 높았다.

 구체적으로는 '위암 의심'과 '위암' 비율이 각각 2배 높았다.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만성질환에 더욱 취약했다.

 장애인 중 고혈압 환자는 50.5%, 당뇨는 29.2%로, 비장애인(고혈압 20.4%·당뇨 11.6%)보다 각각 2.5배 많았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기관 입원 일수는 20.6일로 비장애인(2.1일) 대비 9.8배였다. 외래일수는 35.0일로 비장애인(17.8일)의 2배였다.

장애인 건겅검진종별 수검률

 등록장애인은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5.2%인데 반해 이들이 쓴 총진료비는 약 18조4천549억원으로 국민 전체 진료비(116조1천930원)의 15.9%를 차지했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약 718만9천원으로, 비장애인(190만3천원)에 비해 3.8배 많았다.

 특히 고령 장애인의 진료비가 많았는데, 장애가 있는 노인의 연간 총진료비는 약 11조2천억원으로 장애인 연간 총진료비의 60.5%를 차지했다.

 장애인의 조사망률은 3천885.4명으로, 전체인구(727.6명) 대비 5.3배 높았다. 조사망률은 인구 1천명당 새로 사망한 사람의 비율이다.

 조사망율이 가장 높은 장애 유형은 호흡기 장애(1만1천612.2명), 신장(8천824.9명), 뇌병변(8천544.6명) 순이었다.

 이번 장애인 건강보건통계는 국립재활원이 13일 국립재활원 나래관에서 개최하는 '2025년 장애인건강보건통계 콘퍼런스'에서 발표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수가 정비해 2030년까지 필수의료 적정 보상"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14일 "비용 분석에 기반해 2030년까지 필수의료에 대해 적정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수가 체계를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충북대병원에서 필수의료 종사 의료진·전공의 등과 간담회를 열고 "국민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분야에 종사하는 의료진들이 더욱 우대받는 환경, 자긍심을 갖고 환자 진료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고난도 수술·처치 등 저평가 필수의료에 대한 수가 인상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 장관은 "고위험 필수의료 분야 의료진들이 최선의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의료사고에 대한 공적 배상 지원체계 구축과 형사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부터 불가항력 분만사고 보상한도를 높였고 하반기부터는 배상보험료를 지원한다"며 "필수의료 분야 의료진 법적 보호 방안에 대해서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또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며 "근무시간 단축, 다기관 협력 수련 등 시범사업을 현재 추진하고 있고 필수의료 전공의 수련수당, 지도전문의 지원 등 수련에 대한 국가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지역 간 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심장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
◇ 다양한 심장병 원인 심장병의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긴 어렵지만, 심장병을 일으키기 쉬운 위험 인자는 몇 가지 꼽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흡연, 운동 부족, 과음, 비만,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가족력 등이 있다. 또한 심리적 요인, 가난, 교육 수준, 그리고 미세먼지를 비롯한 공해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나쁜 식습관이나 오랜 시간 텔레비전을 보는 생활 습관 등도 혈관 및 심장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 그 밖에 심장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뜻밖의 요인들도 있다. 먼저, 여성의 경우 12세 이전에 시작하는 초경이다. 1920~1930년대만 해도 여성의 초경 시기가 대략 17세 전후였는데 요즘은 그 시기가 굉장히 빨라졌다. 최근에 조사된 바에 따르면 요즘 여자아이의 평균 초경 시기가 11.5세라고 한다. 그보다 더 빠른 성조숙증 문제도 심각하다. 12세 이전에 시작하는 초경이 심혈관에 안 좋다고 했는데, 평균적으로 보면 요즘 여자아이들 대부분이 이런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를 일찍 시작하는 여성의 경우 폐경기도 일찍 올 가능성이 높고 폐경기 이후에는 심혈관질환에 걸릴 확률이 급격히 높아지는데, 이는 여성호르몬의 보호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