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시술 성공률 40대 중반부턴 '뚝'…"35세前 의료기관 찾아야"

심평원, 난임시술 통계 첫 공개…2022년 20만건·평균 연령 37.9세
체외수정시술 성공률 37%·인공수정은 13%…45세 넘으면 한 자릿수

  난임시술 건수가 매년 증가해 2022년 기준 연 20만 건을 넘어섰다. 난임시술로 임신에 성공할 확률은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낮아져 40대 중반 이후엔 급격히 떨어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7일 난임시술 건수와 난임 원인, 임신율 등 난임시술 관련 세부내용을 담은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 책자를 처음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난임시술을 시행한 기관은 201곳, 시술 건수는 20만7건이었다.

 결혼 연령이 높아지는 데다 난임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이 확대되는 추세여서 2023년 이후에도 난임시술은 계속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난임 원인별로 보면 여성만 난임인 경우가 64.2%, 남성만 난임인 경우 15.0%, 남녀 모두 난임인 경우가 20.8%였다.

연도별 난임시술 건수(2019~2022년)

 20만 건 중 체외수정시술이 16만6천870건(83.4%), 인공수정시술은 3만3천137건(16.6%)으로, 인공수정은 줄고 체외수정은 늘어나는 추세다.

 인공수정은 여성의 자궁 내로 운동성 높은 정자를 직접 주입하는 시술이며, 체외수정은 난자와 정자를 채취해 체외에서 배양·수정한 후 이를 자궁 내에 이식하는 시술이다.

 체외수정은 신선배아와 동결배아 이식으로 나뉜다.

 2022년 기준 난임시술을 받은 대상자는 총 7만8천543명으로, 평균 연령은 37.9세다.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사람들의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난임시술 완료 후 초음파 검사에서 임신낭이 확인된 경우의 비율인 임신율은 체외수정이 평균 36.9%, 인공수정이 13.0%였다.

 두 시술 모두 대체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임신율이 높고, 40세 이후엔 급격히 떨어졌다.

 체외수정 중에서도 신선배아 임신율은 25∼29세가 43.8%로 가장 높고, 30∼34세 42.9%, 35∼39세 37.5%, 40∼44세 20.5%로 점점 줄다가 45세 이상은 4.5%로 급감했다.

체외수정 임신율

 동결배아 체외수정 임신율도 25∼29세엔 50.9%로 절반이 넘지만 30대엔 40%대, 40대 초반엔 30%대로 낮아진 후 45세 이상에선 9.4%로 확 낮아졌다.

 40세 이상을 1세 단위로 나눠 임신율을 비교해도 1세가 많아질수록 임신율이 눈에 띄게 떨어지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수정의 경우 체외수정보다 대체로 성공률이 낮았는데 25세 미만이 17.3%로 가장 높고 30∼34세 14.5%, 40∼44세 7.3% 등으로 낮아지다 45세 이상에선 0.7%로 극히 낮은 임신율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임신 계획이 있는 부부라면 가능하면 일찍 의료기관에 방문해 검사받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교수는 "적어도 35세 이전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가임력 검사를 받고 자연임신 시도를 우선하되 필요하다면 적기에 난임시술을 받을 것을 권유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