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시술 성공률 40대 중반부턴 '뚝'…"35세前 의료기관 찾아야"

심평원, 난임시술 통계 첫 공개…2022년 20만건·평균 연령 37.9세
체외수정시술 성공률 37%·인공수정은 13%…45세 넘으면 한 자릿수

  난임시술 건수가 매년 증가해 2022년 기준 연 20만 건을 넘어섰다. 난임시술로 임신에 성공할 확률은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낮아져 40대 중반 이후엔 급격히 떨어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7일 난임시술 건수와 난임 원인, 임신율 등 난임시술 관련 세부내용을 담은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 책자를 처음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난임시술을 시행한 기관은 201곳, 시술 건수는 20만7건이었다.

 결혼 연령이 높아지는 데다 난임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이 확대되는 추세여서 2023년 이후에도 난임시술은 계속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난임 원인별로 보면 여성만 난임인 경우가 64.2%, 남성만 난임인 경우 15.0%, 남녀 모두 난임인 경우가 20.8%였다.

연도별 난임시술 건수(2019~2022년)

 20만 건 중 체외수정시술이 16만6천870건(83.4%), 인공수정시술은 3만3천137건(16.6%)으로, 인공수정은 줄고 체외수정은 늘어나는 추세다.

 인공수정은 여성의 자궁 내로 운동성 높은 정자를 직접 주입하는 시술이며, 체외수정은 난자와 정자를 채취해 체외에서 배양·수정한 후 이를 자궁 내에 이식하는 시술이다.

 체외수정은 신선배아와 동결배아 이식으로 나뉜다.

 2022년 기준 난임시술을 받은 대상자는 총 7만8천543명으로, 평균 연령은 37.9세다.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사람들의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난임시술 완료 후 초음파 검사에서 임신낭이 확인된 경우의 비율인 임신율은 체외수정이 평균 36.9%, 인공수정이 13.0%였다.

 두 시술 모두 대체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임신율이 높고, 40세 이후엔 급격히 떨어졌다.

 체외수정 중에서도 신선배아 임신율은 25∼29세가 43.8%로 가장 높고, 30∼34세 42.9%, 35∼39세 37.5%, 40∼44세 20.5%로 점점 줄다가 45세 이상은 4.5%로 급감했다.

체외수정 임신율

 동결배아 체외수정 임신율도 25∼29세엔 50.9%로 절반이 넘지만 30대엔 40%대, 40대 초반엔 30%대로 낮아진 후 45세 이상에선 9.4%로 확 낮아졌다.

 40세 이상을 1세 단위로 나눠 임신율을 비교해도 1세가 많아질수록 임신율이 눈에 띄게 떨어지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수정의 경우 체외수정보다 대체로 성공률이 낮았는데 25세 미만이 17.3%로 가장 높고 30∼34세 14.5%, 40∼44세 7.3% 등으로 낮아지다 45세 이상에선 0.7%로 극히 낮은 임신율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임신 계획이 있는 부부라면 가능하면 일찍 의료기관에 방문해 검사받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교수는 "적어도 35세 이전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가임력 검사를 받고 자연임신 시도를 우선하되 필요하다면 적기에 난임시술을 받을 것을 권유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 등 검체검사 보상체계 개편…"공정성·투명성 제고"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혈액·소변검사 등과 관련해 검사기관 간의 과도한 할인 경쟁 등 부작용을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위·수탁 보상체계 개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9일 관련 의학회, 의료계 단체 등과 함께 검체검사수탁인증관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및 질 관리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복지부는 "검체검사 위·수탁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질 관리 강화 및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해 보상체계의 근본적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검사료 분리지급과 위탁검사관리료 폐지 방안 등을 보고했다. 검체검사는 질환 진단 등을 위해 혈액, 소변, 조직 등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를 분석하는 것으로, 동네의원 등은 검체를 채취해 외부 검사기관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복지부 고시인 '검체검사 위탁에 관한 기준'에 따라 위탁한 병의원엔 위탁검사관리료가, 수탁한 검사기관엔 검사료가 건강보험에서 지급되는 게 원칙인데, 현재는 관행적으로 위탁기관이 일괄 지급받은 후 검사기관에 정산해주고 있다. 그러다 보니 검사기관이 병의원과 계약하려고 과도한 할인 경쟁을 벌이고 불공정 계약이 이뤄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검사 질 저하 우려로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