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은한 꽃 향기 과다 노출되면 뇌 신경계 독성 일으킨다"

장미, 제라늄 등에서 추출 한 천연 향료 성분 '시트로넬롤' 독성 유발
화학硏·고려대, 동물실험과 신경계 대사체 분석 통해 확인

  한국화학연구원은 식물에서 추출한 '시트로넬롤'(Citronellol)이 과다 노출될 경우 뇌 신경계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시트로넬롤은 장미, 제라늄, 시트로넬라 등에서 추출한 천연 향료 성분이다.

 화장품·세제 등 생활용품에 은은한 꽃향기를 내기 위해 사용된다.

 우선 제브라피시(사람과 유전체 구조가 비슷한 열대어)와 쥐를 이용, 향기 성분이 체내로 흡수된 뒤 뇌로 전달되는지 여부와 그로 인한 뇌세포 손상 여부를 관찰했다.

 실험 결과 시트로넬롤이 혈액-뇌 장벽(BBB·유해물질이 혈액에서 뇌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보호막)을 통과해 뇌에 도달한 뒤 암과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종(ROS)을 생성하고 염증 신호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면역세포 활성화로 신경 염증(뇌에서 면역반응이 과활성화되는 상태로, 신경세포 손상과 뇌 기능 저하를 일으킴)을 유발하고 혈액-뇌 장벽을 손상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또 신경계 대사체 분석을 통해 필수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이 분해해 만들어진 '키뉴레닌'의 변화를 확인했다.

 키뉴레닌은 신경계에 양면적인 영향을 끼치는 2종류의 물질로 변할 수 있다. '키뉴레닌산'으로 변하면 뇌를 보호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시트로넬롤이 키뉴레닌을 신경독성 유발 물질인 '3-하이드록시 키뉴레닌'으로 변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뇌 오가노이드(인공장기)와 혈액-뇌 장벽의 생체 조직 칩을 이용한 실험에서도 동물 실험에서 확인했던 독성 기전이 그대로 나타났다.

시트로넬롤 노출에 의한 신경계 손상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트로넬롤을 화장품 알레르기 유발 가능 물질로 지정, 유럽연합(EU)처럼 일정 농도 이상 함유될 경우 제품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배명애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시트로넬롤과 같은 향료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신경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해물질'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이달 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위염 건보급여 적용…10㎎ 용량 출시
대웅제약은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정'(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의 위염 적응증에 대해 건강보험 급여를 획득하고 10㎎ 용량 제품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급여 확대로 연간 500만 명에 달하는 위염 환자들에게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회사가 전했다. 위염 환자들은 앞으로 약값의 30%만 부담하면 펙수클루를 처방받을 수 있다. 펙수클루는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차세대 위장질환 치료제로, 기존 PPI(프로톤펌프억제제) 제제가 가진 한계를 개선한 국산 34호 신약이다. 대웅제약은 위산 분비 억제 작용이 빠르게 나타나 치료 초기부터 환자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며 식사 시간과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어 복약 순응도가 높고, 약효가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하루 한 번 복용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웅제약은 위염 시장 진입을 계기로 지난해 매출 1천억 원을 넘어선 펙수클루를 연 매출 1천500억 원 규모의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펙수클루의 위염 급여 적용은 500만 위염 환자들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높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