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시트로넬롤의 혈액-뇌 장벽 통과 여부 실험</strong><br>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313/art_17433191423388_1be729.jpg)
한국화학연구원은 식물에서 추출한 '시트로넬롤'(Citronellol)이 과다 노출될 경우 뇌 신경계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시트로넬롤은 장미, 제라늄, 시트로넬라 등에서 추출한 천연 향료 성분이다.
화장품·세제 등 생활용품에 은은한 꽃향기를 내기 위해 사용된다.
우선 제브라피시(사람과 유전체 구조가 비슷한 열대어)와 쥐를 이용, 향기 성분이 체내로 흡수된 뒤 뇌로 전달되는지 여부와 그로 인한 뇌세포 손상 여부를 관찰했다.
실험 결과 시트로넬롤이 혈액-뇌 장벽(BBB·유해물질이 혈액에서 뇌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보호막)을 통과해 뇌에 도달한 뒤 암과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종(ROS)을 생성하고 염증 신호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면역세포 활성화로 신경 염증(뇌에서 면역반응이 과활성화되는 상태로, 신경세포 손상과 뇌 기능 저하를 일으킴)을 유발하고 혈액-뇌 장벽을 손상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또 신경계 대사체 분석을 통해 필수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이 분해해 만들어진 '키뉴레닌'의 변화를 확인했다.
키뉴레닌은 신경계에 양면적인 영향을 끼치는 2종류의 물질로 변할 수 있다. '키뉴레닌산'으로 변하면 뇌를 보호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시트로넬롤이 키뉴레닌을 신경독성 유발 물질인 '3-하이드록시 키뉴레닌'으로 변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뇌 오가노이드(인공장기)와 혈액-뇌 장벽의 생체 조직 칩을 이용한 실험에서도 동물 실험에서 확인했던 독성 기전이 그대로 나타났다.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트로넬롤을 화장품 알레르기 유발 가능 물질로 지정, 유럽연합(EU)처럼 일정 농도 이상 함유될 경우 제품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배명애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시트로넬롤과 같은 향료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신경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해물질'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이달 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