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환자 10명中 1명 평균 17.5일 대기…의정갈등 속 3.9일 늘어

2024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결과 공개…평균 외래진료 '7분'

 지난해 의정 갈등 속에 환자들이 입원을 위해 대기한 기간이 직전 해 대비 나흘가량 늘어났다.

 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 의뢰로 실시한 '2024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7월 22일∼9월 27일 1만4천681명을 대상으로 외래 및 입원 진료 이용 경험에 관해 설문(가구 방문 방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복지부는 2017년부터 매년 의료서비스 경험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의정 갈등으로 전공의 사직 사태가 벌어진 이후인 7월부터 9월 사이 조사가 이뤄졌다.

 나머지는 원하는 날짜에 입원이 안 돼 기다린 경우였는데, 이때 대기 기간은 평균 17.5일이었다.

 입원 대기 기간은 2023년 13.6일 대비 3.9일 길어지면서 의료서비스 경험조사가 시작된 2017년 이래 최장을 기록했다.

 원하는 날에 입원하지 못한 환자 중에서는 10일 이상 기다린 경우가 69.2%로 가장 많았다.

 외래 진료의 경우 99.6%가 당일 또는 원하는 날짜에 이용할 수 있었다. 원하는 외래 진료 날짜로부터 대기한 환자는 0.4%였고, 이들은 평균 11.4일을 기다렸다.

 외래 진료 대기기간이 30일 이상으로 긴 경우는 19.8%였는데, 이들은 상급종합병원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위해 대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래 진료를 받기 위해서 접수 후 기다린 시간은 평균 16.7분, 진료 시간은 평균 7.0분이었다. 응답자의 61.1%는 실제 진료 시간이 1∼5분이라고 응답했다.

 의료 서비스에 대해서는 흡족하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전반적으로 의료 서비스에 만족했다는 응답은 입원 환자에서 95.4%, 외래 환자에서 92.3%였다.

 입원 환자들에게 담당 의사의 예의 있는 응대, 알기 쉬운 설명, 배려, 환자 의견을 반영한 진료 서비스를 제공받았느냐고 질의하자 그렇다는 응답이 각각 95.9%, 96.2%, 92.4%, 90.1%로 모든 항목에서 90% 이상이었다.

 외래 환자들도 의사로부터 예의 있는 응대를 받고, 알기 쉬운 설명을 들었다는 응답이 각각 93.4, 91.7%였다.

 단 의사의 배려(88.1%), 환자 의견을 반영한 진료(88.2%), 충분한 대화(82.4%)는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의 비율이 낮았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남대, 삼중 항암 면역치료법 개발
광열치료·항암백신·면역관문억제제를 혼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면역치료법이 전남대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전남대는 3일 이준행(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이시은(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박인규(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암면역치료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에 빛을 쬐어 없애는 광열치료, 높은 온도에서도 효능을 잃지 않는 플라젤린 면역증강제 첨가 면역 백신, 면역관문억제제 등을 병합해 암의 재발과 전이를 억제하는 복합암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 기존 면역치료법인 면역관문억제제와 암 백신은 각각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종양이 만들어내는 복잡하고 억제적인 미세환경(TME)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또 광열치료는 빛을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에 사용되는 높은 열이 오히려 면역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타깃 할 수 있는 '종양 특이적 나노입자'를 활용해 광열치료 효과를 최적화했고, 면역 백신과 면역관문억제제 등 3가지를 함께 적용하는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