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마다 다른 폐렴구균 백신 접종비…"심평원 누리집서 비교"

백신 종류 따라 평균비용 2배 차이…같은 백신도 병원별 가격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하기 전에 누리집 등에 공개된 비급여 진료비용을 확인하고 가격을 비교할 수 있다고 10일 안내했다.

 폐렴구균은 급성 중이염, 폐렴 및 균혈증,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의 하나로 영아, 소아와 65세 이상 고령자가 주요 위험군이다. 통상 폐렴 발생이 증가하는 시기는 12월, 4월, 5월이다.

 정부는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폐렴구균 국가예방접종사업을 실시하고 있고, 2014년부터는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사업에 폐렴구균 단백결합백신(PCV)을 추가했다.

 심평원이 폐렴구균 접종비를 분석한 결과 백신 성분별로 평균 금액에 2배가량 차이가 났다.

 지난해 기준 PCV에 속하는 프리베나13주, 신플로릭스 프리필드시린지 약제의 평균금액은 각각 12만5천694원, 11만5천148원이었다.

 반면 다당질백신(PPSV)으로 분류되는 프로디악스-23, 프로디악스-23 프리필드시린지 약제의 평 균금액은 각 6만1천354원, 6만4천244원으로 PCV의 절반가량이었다.

 각각의 약제는 성분에 따라 주 접종 대상 등이 다르다. 예를 들어 PPSV 백신은 65세 이상 성인과 2세 이상의 만성질환, 면역력 손상자 등에 주로 접종된다.

병원마다 다른 폐렴구균 백신 접종비…"심평원 누리집서 비교" - 2

 폐렴구균 백신 접종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이라 같은 종류의 백신이라고 해도 의료기관에 따라 가격이 다르다.

 심평원은 누리집(www.hira.or.kr)과 모바일 앱 '건강e음'으로 약제 종류와 지역에 따른 의료기관별 비급여 접종 가격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 약제로 지정된 박스뉴반스프리필드시린지(PCV15)를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대상 항목에 추가해 올해 8월부터 전국 의료기관별 가격을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3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폐렴으로 인한 사망은 전체 중 3위(인구 10만 명당 57.5명)를 차지하며, 2013년보다 약 2배 늘었다.

 또한 2023년 폐렴 입원 환자는 전체 환자의 21.8%로 전년 대비 1.4배 증가했으며 40∼50대 중장년층 환자 비율도 늘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