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치매?…"디지털기기 사용,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 낮춰"

美 연구팀 "57개 연구 메타분석…기술 사용, 인지 저하 위험 감소 효과"

 스마트폰·컴퓨터 같은 디지털 기기를 많이 사용하면 인지 능력이 떨어진다는 '디지털 치매'(digital dementia) 가설과 달리 기술 사용이 오히려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을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재러드 벤지 교수와 베일러대 마이클 스컬린 교수팀은 15일 과학 저널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서 성인 41만여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57개 연구를 메타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능력을 약화한다는 '디지털 치매' 가설과 모순된다며 오히려 기술 노출이 기술적 예비력을 형성,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추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디지털 기술은 전 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 기술과 함께 성장한 첫 세대가 치매 증상이 흔히 나타나는 연령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일상적인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디지털 기기에 의존하면서 직접 기억, 계산, 정보 처리를 하는 능력이 퇴화한다는 디지털 치매 가설이 널리 알려졌지만, 반대로 정기적인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능력 보존 행동을 촉진해 인지 저하를 줄인다는 가설도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동료 심사 논문을 게재하는 주요 DB(Medline, PsycInfo, CINAHL, Science Direct, Scopus, Cochrane Library, ProQuest, Web of Science 등)에서 디지털 기술 사용과 노년기 인지 기능 관계를 조사한 연구를 검색, 기준을 충족하는 논문 57편을 선택해 분석했다.

 이들 연구는 성인 41만1천430명(평균 연령 68.7세)이 참여한 관찰 또는 코호트 연구로, 50세 이상의 일반적인 디지털 기술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인지 또는 치매 진단 결과를 통해 인지 능력 변화를 관찰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 사용은 컴퓨터, 스마트폰, 인터넷 등을 사용하는 것 또는 이들 기기를 조합해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

 분석 결과 디지털 기술 사용에 따른 인지 장애 위험 오즈비(Odds Ratio)가 0.42(95% 신뢰구간)로 나타났다.

 디지털 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그룹의 인지 장애 위험이 디지털 기술 사용이 적은 그룹보다 58% 낮다는 의미다.

 또 디지털 기술 사용과 인지 능력 간 관계를 평균 6.2년간 추적한 종단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능력 저하 위험을 평균 26%(HR=0.74)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디지털 치매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찾지 못했고, 디지털 기술 사용의 인지 저하 감소 효과는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 인지 예비력 지표 등을 고려할 때도 유의미하게 유지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 연구는 디지털 기술 사용과 인지 건강 연관성을 보여주지만 인과적 메커니즘은 제공하지는 못한다며 이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기술 노출 유형과 시기가 인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출처 : Nature Human Behaviour, Jared F. Benge et al., 'A meta-analysis of technology use and cognitive aging',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2-025-02159-9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 등 검체검사 보상체계 개편…"공정성·투명성 제고"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혈액·소변검사 등과 관련해 검사기관 간의 과도한 할인 경쟁 등 부작용을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위·수탁 보상체계 개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9일 관련 의학회, 의료계 단체 등과 함께 검체검사수탁인증관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및 질 관리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복지부는 "검체검사 위·수탁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질 관리 강화 및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해 보상체계의 근본적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검사료 분리지급과 위탁검사관리료 폐지 방안 등을 보고했다. 검체검사는 질환 진단 등을 위해 혈액, 소변, 조직 등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를 분석하는 것으로, 동네의원 등은 검체를 채취해 외부 검사기관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복지부 고시인 '검체검사 위탁에 관한 기준'에 따라 위탁한 병의원엔 위탁검사관리료가, 수탁한 검사기관엔 검사료가 건강보험에서 지급되는 게 원칙인데, 현재는 관행적으로 위탁기관이 일괄 지급받은 후 검사기관에 정산해주고 있다. 그러다 보니 검사기관이 병의원과 계약하려고 과도한 할인 경쟁을 벌이고 불공정 계약이 이뤄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검사 질 저하 우려로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